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형
중용
중화
조화
중정
평균
패리티
d라이브러리
"
평형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
과학동아
l
201510
opponent-process theory)’으로 설명했다. 특정한 정서가 강하게 형성돼 심리적
평형
이 깨지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그 반대의 정서가 형성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을 언프리티랩스타에 적용시켜 보면 래퍼들이 TV 속에서 마음껏 욕을 하는 것을 보면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강한 심리적 긴장감을 갖게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
수학동아
l
201510
있기 때문이죠. 모두 수많은 알고리즘으로 이뤄진 수학 모형 덕분입니다.비행의 기본은
평형
감각입니다. 드론의 몸이 한쪽으로 기울거나 요동치면 순식간에 추락해버릴 수 있기 때문이죠. 긴 막대를 손바닥 위에 올려 놓고 쓰러뜨리지 않도록 한다고 해봅시다. 막대가 쓰러지려하는 순간마다 그 ... ...
백투더퓨처 2015
수학동아
l
201510
양력, 앞으로 나아가는 추력과 그 반대 방향인 공기 저항력(항력)을 받는다. 이 네 힘이
평형
을 이뤄야 공중에 뜰 수 있다. 비행기가 빠르게 달리면 양날개에 양력이 생기면서 뜬다. 속도가 빠르면 양력과 항력이 동시에 모두 커진다. 항공공학자들은 양력을 항력으로 나눈 값인 ‘양항비’로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
수학동아
l
201508
물 분자가 서로 잡아당겨 표면적을 줄이려는 힘(표면장력)이 있다. 결국 이 힘들이 서로
평형
을 이루지 않으면 거품은 금세 터져버리고 만다. 이럴 때 마요네즈를 만들 때처럼 유화제를 넣으면 오랫동안 거품이 무너지지 않는다. 달걀노른자 속 레시틴이나 녹인 초콜릿을 넣는 것이다. 기름과 친한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7
곧이어 반잠수식 인양선 두 대를 세월호 옆면에 붙여 결합시킨다. 그 상태에서 인양선의
평형
수를 배출하면 부력으로 세월호를 띄워 올릴 수 있다. 박 교수는 “가장 손쉽고 안전한 방식”이라면서 “비용도 다른 방식보다 훨씬 저렴하다”고 말한다.하지만 아이디어만큼 배를 바로 세우기 쉽지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
과학동아
l
201507
가축이 됐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인간과 가축이 서로 병원체를 주고 받았고, ‘병원체
평형
상태’에 이르렀다. 서로의 병원체를 상대에게 퍼뜨려 면역력을 갖게 됐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우리는 개와 아주 가깝게 살고 심지어 같이 자기도 하지만, 개 때문에 심각한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일은 ... ...
존 내쉬, 영화처럼 잠들다!
수학동아
l
201507
내쉬
평형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공동의 이익을 위해 가격을 담합하곤 한다. 내쉬
평형
개념은 이에 대한 수학적 설명을 제공한다. 해석학 분야에 마지막 업적을 남기다내쉬가 1950년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게임이론을 다룬 뒤에 집중한 문제는 대수기하학 문제였다. 이 결과는 ‘내쉬 임베딩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07
보이는 곳은 카타스트로피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내리막길에서
평형
을 유지하려던 모래더미가 어느 순간 작은 힘에도 와르르 무너지는 것처럼, 계속 남자 얼굴로 보이던 그림도 어느 순간 아주 작은 차이로 여인의 모습으로 보이는 것이다.지각성 모호성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는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
과학동아
l
201506
빛의 색 이 변한다는 걸 알 수 있다. 가마 안에서 전자기파와 내 부의 뜨거운 물질이 열적
평형
상태를 이루면, 그 온도 에 맞는 파장의 빛이 구멍을 통해 나온다. 빛이라곤 찾 아볼 수 없는 흑체에서 빛이 나온다는 뜻이다.19세기 후반 물리학자들은 자연에 대해 모르는 게 없다는 자신감에 차있었다.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
과학동아
l
201504
자유롭게 떠돌던 양이온이 넓어진 면으로 이동하면서 표면 전하 분포도 바뀐다.
평형
을 이루던 기판의 자유전자 균형이 깨진다. 양쪽에 전위차가 생기고, 전류가 흐른다. 단 1g의 물로 LED 전극 6개를 동시에 밝힐 수 있다.마지막은 점성력이다. 물과 같은 유체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것은 계속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