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핵커
hacker
크래커
컴퓨터광
cracker
헤커
d라이브러리
"
해커
"(으)로 총 143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드론 위에 막는 안티드론 기술
과학동아
l
201512
개발한 드론 ‘스누피(Snoopy)’ 는 스마트폰 주위에 둥둥 떠서 해킹을 할 수 있다. 전문
해커
새미 캄카(Samy Kamkar)가 개발한 ‘스카이잭(SkyJack)’은 다른 드론을 해킹할 수 있는 드론이다.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빼내는 방식이다.[드론에 카메라만 다는것은 아니다. 산업계는 드론의 다양한 ...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
수학동아
l
201510
했다. 사회적인 문제를 SW로 빠르게 해결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해커
라는의미에서다.하룻밤 사이에 나온 페이스북의 ‘좋아요’해카톤은 대회라는 특성에 맞게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최대한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돼 있고, 그목표도 얼마든지 스스로 높일 수 있다. 그래서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
과학동아
l
201509
정답은 2번이다. 2번처럼 도난 당한 고급차가 유럽에서만 300여 대에 달한다. 심지어 전문
해커
들만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유튜브엔 BMW의 스마트키 복사방법을 안내하는 동영상이 버젓이 공개돼 있다. 1번의 경우, ‘좀비가 앞에 있다’라는 전광판을 띄운 것까지는 실제로 일어난 일이다. ... ...
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
과학동아
l
201507
상황을 만들 수 있다는 의미다. 그리고 최근, 우려할 만한 소식이 전해졌다. 화이트
해커
(강력한 보안 장치를 만들기 위한 연구목적으로 해킹하는 사람)들이 원격 수술 로봇을 뚫었다!미국 워싱턴대 바이오로봇공학실 연구팀은 보안시스템을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워싱턴대에서 개발한 차세대 원격 ... ...
사이버 인질범, 랜섬웨어에겐 OO이 답!
과학동아
l
201506
않고 돈을 주고받은 주소만 남게 돼, 범죄에 이용되기도 하죠. 랜섬웨어로 돈을 요구하는
해커
들도 거래 시 비트코인을 사용합니다. 비트코인을 이용한 거래는 계좌추적이 어려워 범인을 검거하기가 더 어렵다고 하네요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
다시 병원이나 학교 등 정보가 전달되어야 하는 곳의 서버로 보내져요. 이 과정에서
해커
들이 내 소중한 정보를 빼돌릴 수 있는 거예요.사물인터넷은 특정 컴퓨터를 좀비PC로 만들어 시스템 전체를 마비시키는 디도스 공격에 더욱 취약해요. 지금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같은 특정 사물들만 인터넷에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
과학동아
l
201502
토르 를 사용하고 있다. 2013년 6월 25일 청와대 홈페이지 해킹 사건에도 토르가 활용됐다.
해커
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인 척 위장해 토르 프 로그램을 청와대에 설치해 악성코 드를 내려 받았다. 아무리 좋은 의 도로 훌륭한 프로그램을 만들면 무엇하랴. 쓰는 이의 마음은 그렇 지 않은데 말이다 ... ...
PART 1. 미국은 왜 북한을 지목했나
과학동아
l
201502
있다. 2009년부터 사이버 게놈을 연구한 미국은 악성코드 개발자를 확인하는 것을 넘어서
해커
의 소재지에 물리적인 타격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만큼 사이버 게놈추적에 자신이 있다는 것이다. 사이버 게놈을 연구하는 김휘강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역시 “소니 픽처스 공격에 사용된 ... ...
Epilogue. “북한 악성코드는 사이코패스”
과학동아
l
201502
점검 해야 할 때도 있다. 대응센터 직원들은 항상 ‘액티브 레디(active ready)’ 상태다.
해커
의 공격으로 노곤해 진 몸을 이끌고 다시 회사로 들어오면 지치지 않느냐 는 기자의 질문에 정 이사는 “예전에는 사명감이라는 멋진 말로 포장하곤 했지만 이제는 몸이 먼저 반응한다”라고 대답했다. 그는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
수학동아
l
201411
해답은 암호에서 찾고 있다. 해킹으로 고급 정보를 빼갔다 하더라도 볼 수 없게 만들면
해커
의 노력이 헛수고가 되기 때문이다. 또 디도스 공격을 했을 때는 서버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도록 암호화해 막을 수 있다.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암호는 RSA 암호다. 스마트폰부터 신용카드, 이메일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