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종
트기
혼혈아
이종 교배
매기
튀기
혼열아
d라이브러리
"
혼혈
"(으)로 총 4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404
잘 보전된 4명의 네안데르탈인과 5명의 호모사피엔스 시료를 분석했다. 만일 이들 사이에
혼혈
이 있었다면 유전자를 공유할 것이다. 분석결과 네안데르탈인에서는 일치하는 부분이 5명의 호모사피엔스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현생인류 유전자 구성에 있어 네안데르탈인의 기여도는 ... ...
한민족의 뿌리 알타이
과학동아
l
199712
4백여년. 그 세월과 함께 순수 혈통을 가진 알타이인의 수도 많이 줄었다. 러시아계와의
혼혈
을 제외하면 순수 알타이인은 6만여명에 불과하다. 그나마 멘드로사콘에는 순수 알타이족이 가장 많이 살고 있다. 마을 사람들에게 내 모습을 가르키며 "당신드로가 비슷하게 생격죠"라며 말하자 머리를 ... ...
2. 외계인 생체실험의 진실
과학동아
l
199612
모습이 전혀 다르다.UFO연구자 중에는 로스웰필름에 등장하는 외계인이 인간과 외계인의
혼혈
아일지 모른다는 주장을 펴는 사람도 있다. 외계인은 생식기가 없는데 비디오인간은 여성생식기가 있다. 또 지구여성이라면 당연히 유방이 있어야 하는데 비디오인간은 유방이 없다는 점 때문이다 ... ...
5. UFO와 인간 어떤 관계일까
과학동아
l
199612
외계인들이 종말 이후의 세계에서 살아남을 후손을 생산하기 위해 자기 인종과 지구인의
혼혈
종을 교배한 것이라고 주장한다.외계인 피랍을 연구한 학자들은 사회문화적 대공황을 염려하고 있다. 만약에 있을지도 모를 외계인의 존재와 만남이 공식 발표된다면 사회문화적으로 엄청난 충격이 올 ... ...
태즈메이니아의 비극
과학동아
l
199410
바다표범 사냥꾼과 원주민 여자 사이에 태어난 튀기들이 아직도 살아 있다. 이들
혼혈
아의 후손들은 최소한 4천명은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인종차별 때문에 신분노출을 꺼리는 사람까지 감안한다면 원주민의 반쪽 후손들이 의외로 많이 살고 있을는지 모를 일이다 ... ...
미남·미녀기준 서구형으로 대변신
과학동아
l
199405
세대별로 의견을 들어본 일이 있다. 한국의 50, 60대들이 "미국 놈이구먼"하면서
혼혈
아로 보지 않는 얼굴을 40대들은 "동양계가 섞였네!" 하면서 서양인으로 봤다. 여기에 비해 20, 30대 초반의 사람들은 "이국적으로 생겼다"고 말했다. 이국적으로 생겼다는 말은 한국인이기는 한국인인데, 좀 낯설게 ... ...
지역별로 본 한국인 얼굴의 특징
과학동아
l
199403
같은 북방계형이 별도의 루트로 건너가 살게 돼(이를테면 고구려에서 직접 일본으로)
혼혈
이 일어난 결과 오늘날의 일본인이 됐다면, 한국 동남부 지역인과 일본인과는 직접적인 체질적 교섭이 없이도 유사한 특징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한편 한국인의 이마 가로폭이 좁은 특징을 가장 ... ...
나의 얼굴은 어느형인가
과학동아
l
199402
文化韓國人)으로 분류해 보고 있다.현대 한국인의 얼굴 모습에는 이 도래형 이주형
혼혈
형의 특징이 남아 있어서 그들이 처음 들어와 살던 지역에 따라 지역별로 서로 다른 얼굴형을 하고 있는 것 같다고 본다. 현재는 한반도 내의 인구이동으로 인해 동일 지역에도 여러 타입의 얼굴형이 공존하고 ... ...
동물잡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401
된다. 잡종강세, 잡종약세의 원리를 근친끼리의 결혼이 많은 집안의 경우 기형아가 많고,
혼혈
일수록 외모가 아름답다는 일반의 평가와 연관시켜 생각해봐도 좋을 듯하다.종(種)보다 한단계 위인 속간(屬間)에 잡종이 생기는 경우는 훨씬 드물다. 식물에서는 속간교배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 ...
타분 동굴의 유해, 인류최초의 매장 증거인가?
과학동아
l
199301
카멜산의 동굴에서 호모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은 오랫동안 함께 살았지만 그들간의
혼혈
아는 태어나지 않았다.로넨교수에 따르면 타분동굴의 발굴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하는데 따라서 이 지역에서 살았던 고대인들의 생활상 역사 등이 앞으로 더욱 생생하게 밝혀질 것이다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