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길
d라이브러리
"
간도
"(으)로 총 3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너피 여자친구 보나, 피스 탄생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계속 시도하는 이유다.하지만 필요한 수만큼 개를 일일이 복제하기란 쉽지 않다. 시
간도
오래 걸릴 뿐 아니라 비용도 많이 들기 때문이다.암컷을 복제하면 이 문제가 해결된다. 수컷과 같은 질병에 걸리도록 암컷의 유전자를 조작한 다음 둘을 교배시켜 새끼를 낳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태어난 ... ...
삼각뿔 모양 영양 창고 간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탁월하기 때문에 제공자가 환자에게 자신의 간을 60%까지 줄 수 있다. 제공자의
간도
한두 달이면 100%로 회복된다. 필자가 일하고 있는 아주대 병원의 경우 간이식 수술을 집도한 의사는 수술 후 2주 정도 충분히 휴식한 다음 다른 간이식 수술을 한다. 그만큼 간이식은 어렵고 힘든 수술이다 ... ...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북쪽에 있는 발원지임을 명확히 했다.1860년 중국은 그러한 사실을 부인하면서 조선인을
간도
지방으로 쫓아냈고 조선의 대표였던 이중하는 1863년 당빌의 지도를 바탕으로 제작된 일통여도를 증거로 제시했으나 중국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1909년 조선을 강점한 일본이 중국과 야합해 압록강과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않다. 즉 모든 정보가 한데 섞여 있는 셈이다. 그 결과 아이들은 사건이 많을수록 시
간도
더 길다고 느낀다.영국 케임브리지대 생화학과 가이 브라운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시간이 빨리 흐르는 것처럼 느껴지는 현상을 대사율의 차이로 설명한다. 대사율은 일정 시간에 동물이 만들어내는 에너지의 ... ...
현실의 법의학 vs 드라마 과학수사대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사람들에게 과학수사가 빠르고 손쉬운 것이라는 환상을 불러일으켰다고 설명했다. 1시
간도
채 되지 않는 과학수사극에서는 사건발생부터 범인체포까지 압축적으로 박진감 넘치게 진행되며, 극 속의 실험실에서는 어떤 어려운 실험도 못하는 게 없다.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일례로 DNA ... ...
빨라진 대중교통·여전히 혼잡한 도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부산 전구간 완전개통은 2010년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렇게 되면 서울에서 부산까지 2시
간도
채 걸리지 않는다. 탑승수속을 고려한다면 비행기보다 더 빠르다. 때문에 고속철도가 지나가는 지역의 비행기 이용률이 줄어들 전망이다.2010년쯤이면 분당이나 일산과 같은 신도시에서 서울의 도심까지 ... ...
현실과 90% 똑같은 사이버관광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신라의 역사도 직접 느껴볼 겸 경주 불국사에 구경가야지!” 물론 고속철도를 타면 2시
간도
안걸리는 거리이기 때문에 하루만에 관광하는 일이 불가능하지는 않다. 그러나 날씨도 춥고 부모님 허락도 받지 않았으며 비용도 만만치 않을텐데, 김군은 어떻게 불국사를 구경한다는 얘기일까.김군은 ... ...
암호학 카드하나로 통하는 디지털 보안첨병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들어 29083은 어떤 두 소수의 곱일까. 127과 229라는 소수의 곱이라는 사실을 알아내는데 1시
간도
부족할지 모른다. 물론 실제 암호에는 훨씬 큰 수가 사용된다.최근 각광받는 타우너곡선 암호인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는 1976년 디피와 헬만이 제안한 알고리듬을 응용한 것이다. 디피-헬만 알고리듬은 ... ...
4. 눈없이 보는 능력 초시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않고 손가락으로 색깔을 감지하게 하는 기초적인 훈련을 시켰다. 이들 중 한명은 1시
간도
지나지 않아 두가지 색깔을 식별했다. 얼마 후 다른 한사람은 모든 색깔을 감지했다.색깔의 촉감을 본다노보메이스키는 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반복했다. 그 결과 학생들은 한결같이 모든 ... ...
국내 첫 컴퓨터 바이러스 연구소 세운 의학박사 안철수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본인 말처럼 '돌팔이'일지 모르지만, 대한민국 컴퓨터 사용자중 "컴퓨터 학원에서 1시
간도
배워본 적 없는"그의 도움을 받지 않은 사람은 아무도 없다.뚱보 강사 이기성 교수(계원예술대 전자출판과)는 서슴없이 그를'애국자'라 호칭하고 있는데, 이 생각은 비단 뚱보강사 혼자만의 것은 아닐 것이다.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