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광택
윤
불빛
창고
라이트
광선
d라이브러리
"
광
"(으)로 총 524건 검색되었습니다.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UV 레진으로 햇빛을 잡아보자 선캐처 만들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단위체 사이에 올리고머와
광
개시제가 섞인 상태입니다. 자외선을 쪼여 에너지를 받으면
광
개시제가 자유 라디칼을 만들어 단위체를 길게 연결하면서 단단한 고분자 화합물을 형성합니다.예쁘게 완성된 선캐처를 과학동아 편집실 창가에 걸어봤습니다. 이제 선캐처에 햇빛과 함께 행운도 잡히길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2025년 태양전지 세대 교체 일어날 겁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 편집자 주 이번호부터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소관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공공 및 문제해결 연구결과를 소개하는 연재 ‘NST, 모두를 위한 연구 ... 탠덤 태양전지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자 올해 8월 대전에 세계 최대규모의 ‘태양
광
기업 공동활용 연구센터’를 착공할 예정이다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지속
광
을 사용했다. 늘 가지고 다니던 입사식 노출계로 조명 위치에 따라 석굴암에 닿는
광
량을 확인했다. 조명 설치가 끝나면 20kg이 넘는 필름 카메라를 세운 뒤 사다리로 올라가 원하는 구도로 카메라를 향하고 셔터를 눌러 조리개를 열었다. 째깍, 째깍 시계의 소리가 지배하는 수초의 시간이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014년 5월 중국과학원 기하물리학연구소의 설립자인 씨우시옹 천과 중국과학원 수학과 빙
광
교수는 해밀턴-티엔 추측을 증명하는 120쪽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두 사람은 5년에 걸쳐 n차원 켈러 다양체를 리치 흐름에 따라 변화시키면 기껏해야 (n-4)이하 차원의 특이점을 갖는 형태로 ... ...
[과학뉴스] 레이저 기술 혁신 불러올 ‘빛의 눈사태’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나온 빛의 세기를 뜻한다. 이번 연구결과는 전자현미경과 같이 레이저 기술이 필요한
광
학 분야에 활용될 전망이다. 연구에 참여한 이창환 컬럼비아대 기계공학과 연구원은 “이번 연구결과를 적용하면 상업용 공초점 현미경도 가장 최근 개발된 초고해상도 이미징 시스템에 버금가는 70nm 해상도로 ... ...
[논문탐독]
광
자력계 그물 펼쳐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아직 풀리지 않은 우주의 미스터리인 암흑물질의 검출에 성공하면, 인류는 드넓고
광
활한 우주의 원리에 한 발자국 더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요. ● 김동옥 연구원의 논문읽기 노하우 한 달 동안 읽는 논문 수는?실제로 읽는 논문은 한 달에 서너 편 내외입니다. 논문의 내용이 ... ...
[퀀텀닷 완전정복]자체발
광
이란 이런 것, 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통해 퀀텀닷을 활용한 미래 기술의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실제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자발
광
퀀텀닷의 개발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doi: 10.1021/acsnano.7b0189 ... ...
[기초과학의 힘] 빛으로 이산화탄소 잡는다...인공
광
합성 하는
광
촉매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반응 중간에 발생한 일산화탄소를 유용한 화합물로 제조하는 연구뿐만 아니라 가시
광
선 촉매 관련 업체들에 기술을 이전해 미세먼지와 병균 등을 제거하는 공기정화 시스템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 ...
[가상인터뷰] 나비, 날갯짓으로 체온을 유지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5호
통과해. 이때 반사되는 빛이 우리의 눈에는 나비의 색으로 보이는 거야. 이러한 구조를 ‘
광
구조’라고 한단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구조를 본따 색소를 사용하지 않고 색을 표현하는 미세입자 등을 만들고 있지. 또 나비의 부드러운 날갯짓에서 영감을 받은 로봇용 인공근육 연구도 활발하게 ...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역할을 했다면, 이번에는 직접 전류를 받아 원하는 색깔의 빛을 바로 내는 자발
광
퀀텀닷을 개발한 것이다. 더불어 이것을 디스플레이에 응용했을 때 충분히 안정적인 수명을 유지한다는 사실까지 입증했다. doi: 10.1038/s41586-019-1771-5기존의 퀀텀닷 응용 소자가 빛을 흡수하는 퀀텀닷의 특성만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