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으)로 총 1,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달콤한 디저트가 잔뜩! 과자 먹방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저희 남매가 이번에 채널을 열어서 과자 먹방을 촬영하기로 했는데, 꿀록 탐정님과 개코 조수님을 게스트로 모시려고 해요!”꿀록 탐정과 개코 ... 고려해야 한다”며 “우리가 아직 우리 몸속에 대해 모르는 사실이 많기 때문에 앞으로 탐구해야 할 것이 많다”고 전했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저서생물, 위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북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도로 알려줍니다. 적도는 지구의 자전축과 수직으로 지구의 중심을 지나도록 그은 선이에요. 위도의 기준이 되는 적도는 위도가 0입니다. 위쪽으로 올라가면 북극점을 나타내는 북위 90캮이 있고, 반대편으로 내려가면 가장 아래쪽에 남극점을 나타내는 남위 90캳가 ... ...
- [똥손 수학 체험실] 지금 몇 시? 햇빛만 있다면 언제든 알 수 있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만든 약 600년 전의 해시계 ‘앙부일구’가 유명해요. 반쪽짜리 구 모양의 앙부일구는 시각뿐만 아니라 날짜까지 알려주었지요. 해시계는 시침이나 분침 대신 그림자를 사용해서 시각을 나타내요. 해는 매일 아침 동쪽에서 떠올라 머리 꼭대기로 올랐다가 서쪽으로 사라지는데, 해의 위치가 변하면 ... ...
- [출동, 슈퍼M] 수박을 공평하게 나눠 먹는 방법은 무엇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공평하게 먹을 수 없을 거예요. 수박을 똑같은 크기로 자르려면? 수박 한 통을 친구들과 똑같은 크기로 공평하게 나눠 먹을 수 있도록 자르려면 어떻게 잘라야 할까요? 분수를 통해 알아봐요. 자르지 않은 수박 한 통을 ‘1’이라고 해봐요. 이 수박을 똑같이 반으로 자르면, 커다란 두 조각으로 ... ...
- [과동키즈] 내 소설의 날개를 펼치기에 SF는 최적의 공간이었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사회, 역사 등 책에서 얻은 지식을 모조리 활용했다. 다양한 과학적, 철학적 지식을 요구하는 SF는 내 소설의 날개를 펼칠 최적의 공간이었다. 그렇게 ‘막 너머에 신이 있다면’을 써서 응모하고 취업했다. 먹고 살기 위해서였다. 업종 특성상 조기 출근과 야근이 이어졌지만 글쓰기는 멈추지 ... ...
- [한 장의 과학] 서남극 빙붕의 돌이킬 수 없는 미래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밝혔다. 서남극 지역의 빙붕이 모두 녹으면 전체 해수면은 5.3m가량 상승한다. 노턴 연구원은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파리 협정에서 결의한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적용할 경우, 2100년 들어 빙붕이 녹는 양상이 진정됨을 확인했다”면서 “지금 이 이야기를 읽는 사람 중 2100년까지 살아있을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달을 직접 빚어보자! 달의 모양을 관찰해 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형태와 토양 특성을 추정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NASA는 섀도캠을 통해 달의 영구음영지역을 자세히 파악한 다음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오는 2025년 아르테미스 3호를 발사해 우주비행사 4명을 달에 보낼 예정입니다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일이에요. 인공지능이 그걸 해낸다면 스스로 창의적인 학습이 가능한 거지요.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공지능이 대학 수학에서 배우는 기본적인 정리를 증명할 수 있답니다. 인공지능이 수학 증명에서 어느 정도 걸음마를 떼고 있는 셈이지요. 한편으로는 현대 수학이 세분화하고 분야별로 ... ...
- [과학뉴스] 홋카이도 마리모, 기후변화 탓에 ‘야위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마리모의 분해 속도가 한 해에 7.88kg/m3에 이른다는 결론을 내렸다. 케이스케 교수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아칸호의 수온이 계속 상승한다면 대형 마리모 군락은 멸종할 것”이라며 “기후위기에 직면한 대형 마리모 군락을 지키기 위해선 아칸호로 흐르는 강물 흐름을 저온으로 보존해야 한다”고 ... ...
- [수학체험 유랑단] 막대 던져서 π 근삿값 구하기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올해 미국 샌프란시스코 과학관을 방문했을 때 여러 개의 동전을 던져 π의 근삿값을 구하는 실험기를 보고 이번 수업을 기획했어요. 이 체험에 대해 배 교사는 “단순한 활동이지만 직접 통계 수치를 만들고 계산하며 확률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그럼 본격적으로 막대를 던지러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