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약"(으)로 총 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만: 세계적인 주요 건강 문제과학동아 l2003년 03호
- 분산함으로써 지표 환경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현재 인터넷 망의 통신규약인 TCP/IP 네트워크상에서 문자로 만들어진 도메인(인터넷주소)을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숫자의 인터넷주소(IP)로 바꿔주는 번역기 역할을 하는 것이 DNS다 예를 들어 인터넷 접속자가 주소창에 'wwwdongasciencecom ... ...
- 컬럼비아호 참사와 관련된 내열타일과학동아 l2003년 03호
- 하듯이 전자 악기는 미디라는 언어로 통신을 한다 원래 미디는 전자 악기간의 통신 규약을 말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소리가 나는 키보드나 모듈'을 칭한다 예전의 미디는 미디 인터페이스만 있고 외부로 미디모듈이나 키보드를 연결했으나 최근 개발된 사운드카드에서는 이 둘이 합쳐져 있다 ... ...
- 신용카드 대체할 휴대폰 결제시대과학동아 l2002년 08호
- application protocol, 휴대폰을 사용해 인터넷의 정보를 신속히 검색, 표시할 수 있는 통신 규약) 방식의 무선인터넷 금융서비스와 차이는 스마트카드에서 기본적인 보안문제가 해결된다는 점이다. WAP은 무선 데이터가 떠다니는 경로, 예를 들어 핸드폰과 기지국사이에 한해 보안성을 구현할 수 있는 ... ...
- 스마트카드 한 장이면 어디서나 만사형통과학동아 l2002년 02호
- 갖고 있으며, 카드 내에서의 식별은 이 ID로 한다. ID의 식별방법은 국제표준에서 정하는 규약에 따르도록 돼 있다. 또한 우리가 컴퓨터에서도 메모리의 한계로 많은 프로그램을 동시에 로딩할 수 없듯, 스마트카드의 메모리 한계로 인해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릿을 모두 로딩할 수는 없다. 돈의 흐름과 ... ...
- 약되는 독, 독되는 약과학동아 l2001년 09호
- 가진 약물들을 ‘개규약’(開竅藥)이라고 분류했다. 바로 섬수는 이러한 효능 때문에 개규약으로 분류된다.사실 섬수는 강력한 강심 작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인데, 섬수 중의 ‘부파린’(bufalin)이 이 작용을 나타낸다.부파린은 세포 내로 칼륨 이온이 유입되는 것을 ... ...
- 양자역학의 해석과학동아 l2000년 10호
- 뚜껑을 여는 순간부터 양자역학 대신에 눈으로 확인하는 과정(측정)에 대한 사전약속(규약)이 작동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본다. 이상한 상호작용이나 양자도약을 통해 고양이가 반생반사 상태에서 삶과 죽음 중 하나를 택하게 되는 게 아니라, 단지 양자역학이 말해 주는 것은 뚜껑을 열기 전까지 ... ...
- 10돌 맞은 월드와이드웹의 미래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언어는 H1과 같은 마크업을 웹사이트 제작자가 마음대로 정의해서 사용할 수 없다. HTML 규약에서 정해진(혹은 웹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마크업으로만 HTML 문서를 제작해야 한다.그래서 최근에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돼 HTML에 기반한 월드와이드웹 기반기술의 패러다임이 ... ...
- 움직이는 M인터넷과학동아 l2000년 04호
-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반면 왑의 단점은 아직까지 그래픽 요소를 처리할 수 있는 규약이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따라서 기존의 웹 화면을 그대로 불러올 수 없어 왑용으로 별도의 화면을 만들어 제공해야 한다. 현재 초보적인 그래픽 파일을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있고 조만간 ... ...
- 아픔 줄이고 아기 낳는 법과학동아 l2000년 02호
- 그 후 영국과 미국에서는 활발히 수중분만이 이루어졌으며, 1989년에는 ‘수중분만규약’이 만들어졌다.대부분의 사람들은 물 속에서 이완감과 편안함을 느끼는데, 그 이유는 태아시절에 자궁 안의 물, 즉 양수 속에서 살아왔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36℃의 물 속에서 앉은 자세로 분만을 하는 ... ...
-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과학동아 l1999년 12호
- Internet Protocol)가 바로 그것이다.TCP는 정보를 패킷 단위로 나누었다가 다시 복귀시켜주는 규약이고, IP는 인터넷에서 데이터가 원하는 장소를 찾아가기 위한 주소체계를 말한다. 우체부가 우편물을 들고 주소지를 찾아가는 체계를 만든 것이고, 가는 길(네트워크)은 우체부의 생각에 맡긴 것이다. TCP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