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원후"(으)로 총 26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야문명의 유력한 멸망 원인과학동아 l2001년 06호
- 관계를 찾아봤다. 그러자 가뭄이 심했던 다른 시기로는 기원전 475년-250년, 그리고 기원후 125년-210년이며, 이 시기에 마야인은 문명부흥 이전에 살았던 지역을 버렸다.호델 교수는 “마야문명의 갑작스런 멸망 원인이 태양에 의한 가뭄 때문이었다고 확정지을 수 없다”라면서 “문명의 붕괴 원인은 ... ...
-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속의 동물과학동아 l1997년 12호
- 산화집. 1백50여종의 기이한 동물이 그림으로 등장하는 고서다, 기원전 12세기부터 기원후 4세기까지 책이 만들어진 연대가 다양하게 추정된다. 중국 곳곳의 동물, 식물, 광물에 대한 설명으로 이루어졌는데, 날짐승과 들짐승의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진 괴물이 책에 가득히 실려 있다. 각 동물을 ... ...
- 유리를 둘러싼 한·일 공방과학동아 l1990년 04호
- 유리벽은 한반도를 거쳐간 것일지도 모른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기원전 1세기에서 기원후 3세기 사이에 납유리가 처음 제조됐을 가능성이 크다.일본의 고고화학자 야마자키(山崎一雄)의 분석에 따르면 한대(漢代)의 유리벽은 납(Pb) 24.5%, 바륨(Ba) 19.4%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는 "중국의 ... ...
- PART Ⅱ 세균(박테리아) 병주고 약주는 작은 거인과학동아 l1987년 09호
- 일방적 승리로 끝났다. 대표적인 예가 페스트.「페스트, 빨리 멀리 달아나라」이미 기원후 54년부터 창궐하기 시작했던 페스트는 1350년경 아시아에서 시작, 지중해를 거쳐 유렵과 러시아를 공포의 도가니속으로 몰아넣었다. 전유럽 인구의 4분의 1에 상당하는 2천5백만명의 사망자를 낸 페스트는 ... ...
- 빛 이야기 태양숭배에서 레이저까지과학동아 l1987년 08호
- '직진한다'는 기하학적 성질을 지녔다고 생각하였다.또 알렉산드리아의 기술자 헤론(기원후 62년 무렵 활동)은 빛이 물질의 표면에서 반사될 때, 입사각과 반사각이 서로 같다고 말하고, 이 원리에 바탕을 두고서 측량기를 만들려고 했다. 그리고 빛이 어떤 매질속에서 다른 매질속으로 들어갈 때, 그 ... ...
- 우리는 누구이며 어디에서?과학동아 l1986년 01호
- 분포지역으로 표기를 해놓고 있다. 이것은 한국민족이 기원전 3천년전부터 기원후 1천년까지도 고아시아족이었음을 말하는 것이다.지나날 우리나라 학자들은 대체로 일본일들의 견해를 수용하는 입장에서 한국 민족이 퉁구스족이거나 퉁구스족의 일파라고 보았다. 한가지 다른 견해가 있다고 하면 ... ...
이전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