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후위기 대응책 뒷전, 최우선 과제로 끌어올리고파”_조천호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것이 목표입니다. 저 혼자서 해낼 수 있는 목표는 절대 아닙니다. 다만 열심히 길을 닦아가며 나아간다면 제 뒤로 따라 오는 누군가가 달성할 수 있는 꿈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을 읽는 과학동아 독자분들 중 누군가일 수 있겠지요 ... ...
- “공학도로서 연구자 평가제도 다각화에 기여하고파”_박충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2023년 12월, 국민의힘이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겨냥한 1차 영입인재를 발표했을 때 박충권 현대제철 연구개발본부 책임연구원은 남다른 이력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그 ... 시야가 좁아질 수 있습니다. 넓은 시야를 갖고 내가 가고 있는 길의 방향과 주변 세상을 둘러보면서 가길 바랍니다 ...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무엇인지, 우리 주변에 화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물질이 과연 있는지 깊이 고민해 보길. 혹시 모르지 않는가. 과학동아 독자라면, 100만 파운드와 여 교수의 집을 함께 얻을 수 있을지 ... ...
- 수학은 명탐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폭 LM은 날아오던 핏방울 DE의 길이와 같으므로, LM = DE = AB = ab이다. 따라서 최종 혈흔의 길이 JK와 맞대응하는 bc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 abc를 이용하면 충돌 각도 I를 구할 수 있다. 충돌 각도를 구했다면 이제 높이를 계산할 수 있다. 우선 평면에 있는 개별 혈흔의 방향(타원의 장축)을 따라 ... ...
- [시사기획] 정치에 도전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정부출연연구기관, 세계 최대의 IT기업 등을 뒤로 하고 정치라는 새로운 길에 도전했다. 연구개발(R&D) 예산 정책, 기후위기 대응 등 과학 이슈가 주요 쟁점으로 떠오른 이번 총선에서 후보자들은 입을 모아 “과학기술계와 정치를 잇는 사람이 되겠다”고 말한다. 왜, 그리고 무엇을 하고자 하는지 ... ...
- “20년 전 제언이 여전히 유효, 이제는 직접 바꾸겠다”_정우성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게임과는 완전히 새로운 영역입니다. 이곳에서 한국의 새로운 기간산업을 구축하는 길을 닦는 역할을 맡았다고 생각합니다. Q 마지막으로 각오 한마디를 들려달라저희 집에는 이공계 진로를 꿈꾸는 중학교 3학년 그리고 초등학교 6학년인 아이들이 있습니다. 과학동아 독자들이기도 하죠. 이들에게 ... ...
- [논문탐독] 모든 물질의 출발점에 다가서는 입자 생성 매커니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앨리스 검출기는 이 중입자의 붕괴에서 생성된 양성자, 파이온, 전자처럼 수명이 길고 안정한 입자들을 포착합니다. 크사이씨의 붕괴 채널은 여러 개인데, 이번 논문은 크사이(Ξ-)와 파이온으로 붕괴하는 채널과, 크사이와 전자, 그리고 중성미자로 붕괴하는 채널에 집중합니다. 이 중 앞의 채널은 ... ...
- 배달시작 ⎪ 전격공개! 로봇이 바라본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통해 몸을 움직입니다. 자율주행 로봇 또한 비슷한 과정으로 장애물을 피해 요리조리 길을 찾아갑니다. 우선 로봇의 외부에 달린 여러 장치가 마치 사람의 감각 기관 역할을 해요. 라이다, 레이더, 카메라 총 3개의 장치가 대표적이지요. 세 장비는 각자 역할이 달라 서로의 부족한 점을 보완합니다 ... ...
- [지사탐 인터뷰] 다함께 기록하자! 우리동네 제비꽃 '문현지'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AI가 정확한 동정을 하기 위해선 한 식물 당 500여 장의 생태 이미지가 필요하니, 아직 갈 길이 먼 셈이죠. 제가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제비꽃부터 생태 이미지를 모으기 시작해 우리나라에 사는 모든 식물의 생태 이미지를 수집하고 싶어요. Q 어과동 독자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현장 교육에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과학에 쓰이는 돈 어떻게 가져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고생길이 열렸다. 대학에서 신진연구자에게 주는 작고 소중한 연구비로 삼엽충 연구를 시작한 김공룡 박사의 나날은 쉽지 않다. 화석을 발굴하다 곡괭이가 부러져도 대충 테이프를 둘둘 감아 수선하고, 옆 연구실이 버스를빌려 타고 학회에 갈 때 김공룡박사는 열심히 걷고 뛰어야 한다. 그런데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