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괴
파손
d라이브러리
"
깨짐
"(으)로 총 3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양전자들은 모두 어디로 갔는냐는 것이다.물론 표준이론의 체계 안에서 CP 대칭성
깨짐
의 물리적 원인을 규명하는 이론은 나와있다. 최초의 이론은 1973년 일본의 고바야시 마코토와 마스카와 도시히데가 발표했는데, 6가지 쿼크 각각의 고유한 성질이 입자와 반입자의 약한 상호작용에 미묘한 ... ...
호킹은 왜 자신의 블랙홀 이론을 수정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보존에는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호킹 복사로 정보가 사라진다는 것은 에너지보존 법칙의
깨짐
을 의미한다. 따라서 호킹의 이론은 양자역학의 근본법칙에 도전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수많은 과학자들은 양자역학을 포기할 수 없었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호킹 복사와 정보 보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 ...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속에 비춰 관측하는 경우(P) 그 물리계의 성질이 전혀 바뀌지 않음을 뜻한다 CP 대칭성
깨짐
은 이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뜻 1964년 미국 브룩헤이븐연구소의 과학자 4명이 처음 발견했다주성분이 메탄이라 '메탄하이드레이트'라고도 부른다 축구공 모양으로 배열한 물 분자가 메탄이나 프로판, ... ...
입자물리학 펭귄 도식이 흔들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B중간자가 ф(파이)중간자와 Ks중간자로 붕괴하는 과정을 분석했다. 역시 CP 대칭성
깨짐
이 예상되는 과정이다. 표준모형에 따르면 이 과정은 ‘펭귄 도식’이라는 경로를 거쳐 일어난다(그림). 예상되는 sin2ф1, 즉 CP 대칭성 깨어짐의 정도를 나타나는 값은 +0.731이다. sin2ф1이 0이면 대칭성이 보존됨을 ... ...
차세대 정밀유도폭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속에 비춰 관측하는 경우(P) 그 물리계의 성질이 전혀 바뀌지 않음을 뜻한다 CP 대칭성
깨짐
은 이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뜻 1964년 미국 브룩헤이븐연구소의 과학자 4명이 처음 발견했다주성분이 메탄이라 '메탄하이드레이트'라고도 부른다 축구공 모양으로 배열한 물 분자가 메탄이나 프로판, ... ...
바이러스 복제 차단하는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속에 비춰 관측하는 경우(P) 그 물리계의 성질이 전혀 바뀌지 않음을 뜻한다 CP 대칭성
깨짐
은 이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뜻 1964년 미국 브룩헤이븐연구소의 과학자 4명이 처음 발견했다주성분이 메탄이라 '메탄하이드레이트'라고도 부른다 축구공 모양으로 배열한 물 분자가 메탄이나 프로판,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그러므로 CP대칭성의
깨짐
에 대한 연구는 이제 막 시작한 단계나 마찬가지이다.CP대칭성
깨짐
의 측정법B중간자에서 CP대칭성이 깨지는 것을 어떻게 측정하는지 알아보자. 이를 위해 우선 B중간자의 진동현상을 이해해야 한다.중성 B중간자는 b(바톰)쿼크와 반d(다운)쿼크로 만들어진 입자이다. 따라서 ... ...
3. 고에너지가속기가 해결하는 20세기 숙제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현재 일본의 벨(BELLE)이라는 실험그룹에 우리나라의 실험학자들이 대거 참여해 CP대칭성
깨짐
을 찾으려고 한다.B 공장에서는 1년에 수백만개의 B -B쌍을 만들어내어 B 중간자의 섞임과 붕괴에서 일어나는 CP 붕괴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이들 실험으로부터 표준 모형이 예측하는 정도의 CP 붕괴율이 ... ...
2. 가속기가 열어온 입자물리학 50년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기본입자를 발견하고, 그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을 정밀히 검증하며, 대칭성
깨짐
현상을 발견하는 등 수없이 많은 일을 이뤄냈다. 현재의 이론은 인류 역사를 통틀어 자연의 기본 질서에 대한 가장 완벽한 이론이다. 그러나 이 이론에서 쿼크와 경입자, 그리고 게이지 보존들이 질량을 가질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물리학상-호프트와 벨트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달리 재규격화가 가능한지는 분명하지 않았다. 다시 말하면 표준이론은 자발적인 대칭성
깨짐
을 도입해 게이지 입자가 질량을 얻는데 성공했지만 재규격화가 가능한지는 밝히지 못했다. 이론물리학자들이 표준이론에 대해 깊은 회의를 품고 있었던 이유다.공을 다툰 사제지간이런 상황이 벌어지는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