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질
불치
d라이브러리
"
난치
"(으)로 총 204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이나 특정 행동의 원인을 밝히고, 나아가 빛을 이용해
난치
성 질병을 치료하는 미래를 위해 과학자들은 지금 이순간에도 쉼 없이 연구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 ...
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이어지고 있어요. 미국의 물리학자인 로버트 에팅거는 미래에 과학이 발전해서
난치
병 치료법이 개발되면, 훗날 병으로 죽은 사람도 다시 살려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그 방법으로 사람의 몸을 차갑게 얼리는 ‘냉동 인간 보존술’을 떠올렸답니다. 로버트 에팅거는 프랑스의 ... ...
[과학뉴스] 흡연이 대장질환 유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그 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흡연과 대장염의 관련성을 규명했다”며 “크론병과 같은
난치
성 대장염 치료법 연구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3389/fi mmu.2017.0134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자리해 있다. 이곳에는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병원에서는 더 이상 손 쓸 수 없는
난치
성 희귀질환 환자들도 임상시험에 희망을 걸고 찾아온다. 11월 1일 NIH 캠퍼스 앞에 도착하자 지하철 메디컬센터역 출입구 벽이 눈에 들어왔다. 벽에는 ‘환자를 최우선으로(Patient First)’라는 안내 문구가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획기적으로 높인 것으로 평가 받는다. 이 기술의 파급효과는 매우 강력해서, 암 같은
난치
병을 곧 쉽게 치료하게 될 거라는 기대와, 제대로 된 기준을 세우지 않으면 자칫 유전자를 마구 ‘편집’해 괴생명체를 탄생시킬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뒤섞여 있다. 이 책은 바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가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길에서 파지를 줍는 노인은 십중팔구 온 몸의 관절이 굽어 굳어 있다. 반도체 공장에서
난치
병에 걸렸거나, 쪽방촌에서 폭염에 사망했다는 이들은 비싼 병원비는 엄두를 내지 못할 정도로 가난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개인별 맞춤 치료를 앞둔 시대에, 이들은 왜 이토록 아프게 사는 걸까 ... ...
[Future] 한국 온 지 9개월, ‘닥터 왓슨’ 뭐하세요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정확하게 추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I가 현대의학도 완벽하게 해결하지 못하는
난치
병에서 인류를 구할 수 있는 날이 올지 기대해볼 일이다 ... ...
[특별 인터뷰] 희귀질환 어린이들을 돕는 과학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RG코리아 생물정보학 담당서울대 의대 바이오정보의학연구실 박사과정생 -왜
난치
병 어린이들을 도와야겠단 생각을 했나요?최: 2014년, 유튜브에서 우연히 본 미국 레어지노믹스(RG) 지미 린 회장의 강연이 계기가 됐어요. 미국 RG는 크라우드펀딩으로 돈을 모아 희귀질환 환자들의 ‘분자 진단’을 ... ...
[Future] 가장 품위 있는 죽음? 웰빙 위한 웰다잉 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수 있다는 것이다. 영국과 미국에서는 미래에 되살아나 치료받기를 원하는 부유한
난치
병 환자들을 사망한 지 2분 이내에 액체질소를 이용해 영하 196℃로 얼려 놓는 곳도 있다. 가상현실을 이용해 고통 없이 세상을 떠나는 방법을 상상하기도 한다.‘혹시 미래에는 의학이 상상할 수 없을 만큼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서로 어떤 연구를 하는지 잘 알고 있었기에 공동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다. 최홍수 교수가
난치
병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로봇을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유 교수에게 먼저 손을 내밀었다. 두 사람의 로봇 연구는 그렇게 시작됐다.처음 연구를 시작한 2010년은 물론 현재까지도 마이크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