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윙
우익
지느러미
방향조정 날개
시준판
d라이브러리
"
날개
"(으)로 총 1,601건 검색되었습니다.
[숫자뉴스] 똥 무늬로 살아남는 개구리?!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23호
독특한 반점 무늬 때문에 새나 박쥐 등의 똥처럼 보여요. 포식자는 무늬가 있는 월리스
날개
구리를 먹을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덜 공격했을 거예요”라고 말했어요 ... ...
[과학사] 국제우주정거장(ISS), 우주비행사 첫 탑승!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1호
싣고 온 우주 왕복선 엔데버호의 도움을 받아 ISS의 양쪽 가장자리에 태양 전지판
날개
를 설치했어요. 덕분에 ISS의 전력이 5배로 늘어날 수 있었지요. 이 밖에도 ISS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승무원의 심박수를 평가하는 등 정거장에서 우주인들이 오랫동안 머물 수 있도록 기초를 ... ...
[광고] 읽기만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1호
제5부 ‘사람의 뇌에 도전하다’ 편이 생각나네요. 컴퓨터의 등장부터 인공지능(AI)에
날개
를 달아준 ‘딥러닝’의 원리를 설명한 부분이에요. 만약 인간이 AI를 통제할 수 있다면 AI는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거예요. 그러나 AI가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 스스로 가치 판단을 한다면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 ...
[사막 생물 탐구생활] 치열한 사막라이프, 크레오소트 관목과 메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8호
먹어서 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되죠. 알맞은 크레오소트 관목을 찾은 수컷은 다리를
날개
에 비벼 소리를 내 암컷을 유인합니다. 암컷 메뚜기는 알을 낳으려면 먹이가 많이 필요해서 먹을 수 있는 크레오소트 관목을 차지한 수컷을 찾아가거든요. 하지만 다른 수컷들도 이 관목을 차지하러 오기 ... ...
[숫자로 보는 뉴스] 윙윙~ 모기 살려! 모기가 3/10만큼 줄었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15호
일부 들어 있어요.살충제★ 벌레를 죽이기 위해 쓰는 약을 말해요.말라리아★ 얼룩
날개
모기가 옮기는 병이에요. 말라리아로 전 세계에서 매년 50만 명이 목숨을 잃어요 ... ...
[퍼즐마법학교] 열러라, 굳게 닫힌 마음의 갑옷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14호
사라졌어.“기억났다”앙굴루스 왕은 나지막이 내뱉었어.“붉은 뿔에 잿빛의 몸파란색
날개
를 가진 유니콘이었어”앙굴루스 왕의 목소리가 떨렸어.“그럼, 이제 다른 유니콘들은 풀어줄 거지?”나는 희망을 담아 물었어. 하지만 앙굴루스 왕은 망설이는 것 같았어.“우리가 그 녀석을 찾을 수 있게 ... ...
[질문하면 답해ZOOM] 시력은 좋아질 수 없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저기압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선풍기 튜브 안쪽으로 바람이 흐릅니다. 그 결과 우리는
날개
없이도 시원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답니다. 용어 설명근(원)시 : 안구가 길어(짧아) 초점이 망막 앞(뒤)에 맺히는 현상. 먼(가까운) 곳은 잘 보이지 않는 특징이 있다 ... ...
[과동키즈] 내 소설의
날개
를 펼치기에 SF는 최적의 공간이었죠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얻은 지식을 모조리 활용했다. 다양한 과학적, 철학적 지식을 요구하는 SF는 내 소설의
날개
를 펼칠 최적의 공간이었다. 그렇게 ‘막 너머에 신이 있다면’을 써서 응모하고 취업했다. 먹고 살기 위해서였다. 업종 특성상 조기 출근과 야근이 이어졌지만 글쓰기는 멈추지 않았다. 여느 때처럼 ... ...
[현장취재] 우동수비대 발대식 4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했어요. 강연은 야무지게 먹이를 먹는 마멋, 짝을 찾기 위해
날개
를 펄럭이며 춤을 추는 두루미 등 다양한 동물 행동 설명으로 이어졌지요. “그런데 동물원에 있는 동물들은 야생에서는 볼 수 없는 비정상행동을 하기도 해요. 비정상행동 중에서도 특히 목적이나 기능 없이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안정적인 추력이 나왔어요. 로켓 설계도 점점 더 과학적으로 하게 됐습니다. 박현우:
날개
나 노즈콘(로켓 앞머리의 뾰족한 부분)의 모양을 조절해 가며 우리가 만들 수 있는 최적의 설계를 찾았어요. 5월 추력시험을 통해 저희 로켓이 대략 186N의 추력을 안정적으로 낸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이 정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