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노이즈"(으)로 총 8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은나노섬유로 해결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정도의 낮은 전압과 1MHz(메가 헤르츠)의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구동이 가능해 전압 문제와 노이즈 문제도 해결됐다. 박 교수는 “지문 센서에는 온도 센서와 압력센서도 함께 탑재해 위조 지문과 실제 지문을 구분할 수도 있다”며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에도 적용하는 등 앞으로 쓰임새가 많을 ... ...
- [Tech] 모델명 ASUS ROG Centurion 7.1, 게이밍 헤드셋과학동아 l2018년 07호
- .ASUS ROG Centurion 7.1은 별도의 앰프(AMP)를 제공해 드라이버 유닛 각각의 소리와 전반적인 노이즈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게 설계됐습니다.그밖에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게임의 음향을 시각화할 수 있는 ‘소닉 레이더’ 기능도 신기합니다. 마치 비행기에서 레이더가 작동하듯, 화면 중간에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위험이 높다. 반면 빛(레이저)을 이용하는 라이다는 빛이 많은 낮보다는 오히려 밤에 노이즈가 없어, 밤에 장애물을 더 정확하게 인식한다. 전자부품연구원(KETI)이 개발한 ‘고속 3D 스캐닝 라이다’는 야간에도 최대 200m, 시야각 140도의 범위 안의 도로 상황을 실시간 3D 영상으로 볼 수 있다. 인식 ... ...
- 스마트폰으로 사진작가 되기!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너무 느리게 하면 사진이 흔들릴 수 있고, ISO를 높일수록 사진에 자글자글한 노이즈가 생겨나니 주의해야 합니다. 4. 구도 잘 잡는 비법은? 단호하게 기하학을 알아야 한다고 답할 수 있을 것 같군요. 사진은 눈으로 바라보는 장면을 그대로 찍는 게 아니에요. 사진은 직사각형 프레임 안에 담겨요.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균일하게’ 발견되는 것을 관측했다. 미국 프리스턴대의 로버트 디케 교수는 이 노이즈가 바로 우주배경복사라는 것을 알아냈고, 우주의 모든 방향에서 같은 세기로 도착한 우주배경복사는 우주의 등방성을 증명했다.여기에 더해 1989년 우주배경복사를 정밀하게 관측하기 위해 발사된 코비 ...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설치해 수중방사소음을 기준보다 크게 낮췄다. 음파장비로 측정하는 정보의 노이즈를 없애고, 동시에 해양생물의 피해도 최소화하는 ‘두 마리 토끼’ 전략이다. ‘태평양을 건너 대서양을 건너 인도양을 건너서라도’라는 어떤 노래 가사처럼, 이사부호는 이제 정말 바다로 달려 나갈 일만 남았다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낙석과 같은 작은 충돌에도 데이터에 노이즈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에서도 의심스러운 데이터를 보내는 경사계를 교체했다. “과학자로서 할 일이 있어 기쁘다”오후 3시 독도에서 배가 나가는 시간까지 임무를 마치지 못할까봐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미국 와이오밍대 연구팀의 작품이다. 알렉스넷은 사람이 보기에 별다른 의미 없는 노이즈와 패턴의 이미지를 아르마딜로, 야구, 거품, 황제펭귄 등으로 분류했다(위 그림 참고). 터무니없는 결과지만 알렉스넷은 자신이 분류한 이미지가 99%의 확률로 정답과 일치할 것이라고 확신했다.이런 문제의 ... ...
- [Career] 통신부터 국방까지, 일상을 지배하는 레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전달이 어렵습니다. 광양자통신의 핵심은 이 노이즈를 줄이는 것입니다.방준휘 교수님은 노이즈를 줄이는 연구를 하고 계신 거군요.정윤찬 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초방사현상’을 연구하고 있습니다.방준휘 초방사현상이 뭔가요?정윤찬 초전도현상은 많이 들어봤죠? 온도가 특정 온도보다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오스트리아 빈에 위치한 데이터 분석센터로 보내진다. 이곳에서 광산의 화약 폭발 같은 노이즈 데이터를 제외하고 본격적인 분석에 나선다. 물샐틈 없는 이 시스템 때문에 지하에서든, 바다에서든 비밀리에 핵실험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떤 종류의 방사성물질을 사용했는지,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