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여겨 보기"(으)로 총 1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어떨까요? 상상은 독자 여러분께 맡기겠습니다.맛있게들 드셨는지 모르겠습니다. 보기 좋은 떡이 먹기에도 좋다는 속담이 가장 잘 맞는 수학 공식이 바로 오일러 공식 아닐까 싶습니다. 겉치레 없이 깔끔한 겉모습에서 양자세계를 설명하는 능력까지. 식탁을 치우면서 괜히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있다. 인간은 흰자위 때문 에 자신의 정보가 쉽게 노출된다. 예를 들어, 상대를 은밀히 보기가 힘들다. 상대를 기습 공격하려고 할 경우 큰 단점이다. 공격을 피해 숨어있을 때에도 흰자위는 곤란하다. 희번덕거리는 흰자위는 그대로 나의 위치를 적에게 알려준다. 눈동자의 홍채 색도 옅어졌다. ...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충돌을 피하기 위해 각각 다른 높이에서 날게 만들었기 때문에 엄밀히 군집로봇 이라고 보기는 어려웠다.그런데 최근, 헝가리 연구팀이 드론의 야외 군집비행 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는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다. 2월 26일, 저널 ‘네이처’는 헝가리 에오트보스 로란드대 물리학과 타마스 빅세크 ... ...
- 배낭여행 프로젝트 꽃보다 할배 in Spain 좌충우돌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모아 전시하는 ‘피카소 미술관’이 있다.피카소의 작품을 볼 때 가장 눈여겨볼 부분은 ‘관점’이다. 피카소는 2차원 평면인 캔버스 위에 여러 가지 시점에서 바라본 대상의 모습을 하나로 표현했다. 보기에 따라서는 괴기스럽게 느낄 수 있지만, 피카소의 작품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이 같은 표현 ... ...
- 숨은 보물단지를 찾아라! 빅 데이터수학동아 l2013년 03호
- 담아두거나 분석할 기술이 없어 자료가 생김과 동시에 대부분 폐기됐어요. 하지만 정보기술이 발달하면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됐어요. 따라서 자연히 이런 ... 있는 능력이 가장 큰 경쟁력이 될 거예요. 여러분도 실생활 속에서 얻은 자료를 보기 좋게 그래프로 정리하고 ... ...
- 떼려야 뗄 수 없는 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세균 감염을 막는 1차 방어선때를 만드는 주범은 공기 중의 미세먼지다. 지름 10㎛(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이하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다. 이 먼지가 무 ... 날도 있지 않을까. 그렇다고 욕실에 남아있는 물때를 남겨둘 생각은 안하는 게 좋겠다. 보기도 흉하고, 미끄러져 다친다 ...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20세기 수학의 흐름을 바꾼 힐베르트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당대의 인류가 수학분야에서 무엇을 알고 있고, 무엇을 모르는가에 대한 통찰력을 지닌 보기 드문 학자였다. 그 자신도 너무나 풀고 싶지만, 그 답을 알지 못하는 수학문제 23개를 골라 19세기에서 20세기로 들어서는 문턱인 1900년에 발표했다.이 문제는 해결 여부가 중요하기보다는, 이러한 노력을 ... ...
- 오빤, 나보다 그게 더 중요해?과학동아 l2012년 07호
- 갈등을 회피하고 강한 감정을 억누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소년이 눈여겨 본 부분은 서로 다른 유형이 만나는 경향이었습니다. 안정형끼리는 서로 ... 그런 스타일일 수도 있지요. 그래도 일단 소년은 자신부터 더 노력해 보기로 했습니다. 어쩔 수 없이 당분간은 디아블로가 활개치도록 ... ...
- 수학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폴클랑 졸리스텐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위치한 경기도어린이박물관을 찾았다.‘피타고라스의 음계’라는 오케스트라 공연을 보기 위해서다. 그런데 음악 공연 제목에 수학자 이름이 들어가 있다. 뭔가 심상치 않은 공연임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었다.오후 3시. 피타고라스, 레오나르도 피보나치, 베토벤, 바흐, 모차르트 등 천재 수학자와 ... ...
- 하아암~ 엣취! 딸꾹! 못 참아 3종 세트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레몬을 입에 넣으면 나도 모르게침이 많이 나오는 것은 무조건반사이고, 레몬을 눈으로 보기만 해도 침이 나오는 것은 조건반사예요. 하품과 재채기, 딸꾹질은 무조건반사 중에도 연수반사에 속해요. 세 가지 모두 생각을 하는 대뇌를 거치지 않고 재빨리 몸이 반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