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답"(으)로 총 2,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도전한 AI, 결과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논증법 방법만 사용했기 때문에, 풀이가 길어지는 것이 당연한 결과였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IMO에 출제 문제 중 3번과 6번은 매년 그해 시험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로 손꼽힌다”며 “알파지오메트리가 못푼 문제 중 3번과 6번이 많다는 점에서, 꽤 사람 다운 행동을 보이는 AI라는 생각이 ...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벅찬 표정을 지었다. 노푸름 독자는 “지하 1000m로 내려가니 귀가 먹먹하고 숨이 답답한 신체적 증상들이 있었는데, 그런 환경에서 연구를 진행하시는 연구자분들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신재호 독자(경기 평촌중 3)는 “아직 양양 지하연구실에서 가져오지 못한 실험 장비들이 ... ...
- 하스스톤 확률 이용해 카드 내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것과 강한 하수인 카드 1장을 내놓는 것 중 어떤 게 좋을지 다음 턴(6번째)을 예측해 답을 찾아보자. 상대방은 총 30장 중 9장(3장 + 6장)을 갖고 있다. ‘두억시니’ 카드는 주술사 플레이어의 강력한 카드라서 대부분 덱에 넣는다. 만약 이때 후공 X는 두억시니 카드가 갖고 싶어 선공인 Y가 가진 카드 ... ...
-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초고에너지 우주선을 연구해야 하는 이유는 뭘까. 기자의 우문에 류 교수가 내놓은 현답으로 기사를 마친다. “수백 년 전만 해도 우리는 신이 우주를 만들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생각을 계속 가지고 있었다면 현재 우리의 모습이 어땠을지 생각해 보세요.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느끼진 ... ...
- 1과 1을 모으면 1이 아닌가요? 에디슨의 엉뚱한 질문!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2이지요. 이 정도는 안다고요? 하지만 전구를 개발한 미국의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은 왜 답이 2인지 궁금했지요. 에디슨은 선생님에게 질문했어요. "찰흙 한 덩이와 다른 한 덩이를 모으면 다시 한 덩이가 돼요. 그럼 1+1은 1이 아닌가요?” 사실 에디슨의 말은 틀렸어요. 찰흙이 합쳐지며 크기가 ... ...
- [질문하면 답해ZOOM] 핫팩 속에는 무엇이 들어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철의 산화가 빨리 이루어지도록 돕는 촉매 역할을 해 손난로가 더욱 빠르게 열을 낼 수 있답니다. 핫팩을 오래 만지작거리다 보면 부직포에서 미세한 산화철 입자들이 새어 나올 수 있어요. 핫팩을 오래 쥐고 있으면 손에서 쇳내가 나기도 하는 이유지요. 반려견과 함께 있다 보면 반려견이 마치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사랑했기 때문에 이번 발견을 할 수 있었다고 한다. 고등학교 수학 선생님으로부터 답이 여러 개인 문제에 도전하고 또 도전하는 것이 수학의 매력이라는 점을 배웠다고 한다. 대학에서 전기 공학을 전공한 그는 페덱스에서 재무관리를 담당했는데, 시간이 날 때마다 매일 거대 소수를 찾았다. ... ...
- [신의 책] 선택의 순간을 설명하는 몬티 홀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우리가 살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때 찍어서 선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요. 이런 선택의 순간에 관한 ‘몬티 홀 문제’가 있어요. 1963년부터 40년간 ... 확률이 2/3이고, 5지선다형의 경우 4/5이니 5지선다형 문제가 더 쉬운 걸까요? 이 문제에 대한 답은 여러분 스스로 생각해보길 바라요 ...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로봇과 친구가 될 수 있는 사회는 어느 나라에서 먼저 실현될까? 필자는 이 답이 미국, 한국, 중국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실현될 것이라고 감히 예측한다. 로봇과 공존하는 사회를 이루기 위해선 로봇과 인공지능(AI) 기술이 각각 성장해야 한다. 국제로봇연맹(IFR)이 2024년 1월 1 ...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연구팀은 핑크 다이아몬드가 수 백km 상승 여행을 할 수 있던 이유를 찾아냈습니다. 답은 바로 ‘틈’. 초대륙 컬럼비아(누나)가 붕괴하면서 만들어낸 지각의 틈이 핑크 다이아몬드가 솟구쳐 오를 수 있게 했다는 겁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됐습니다. doi: 10.10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