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량"(으)로 총 1,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생명현상의 실타래에서 찾아낸 맞춤형 암 치료의 실마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생명과학에선 많은 분자나 세포 등의 집합체에 관한 복합적, 총체적인 데이터를 활용해 대량의 생물정보와 이 정보들 간의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통합니다. 세포 내부의 모든 유전자, 유전체를 다루는 학문을 유전체학, 존재하는 모든 mRNA를 다루는 전사체학, 세포 내에서 발현된 모든 ... ...
- [5년 후, 과학은] 하늘까지 자율비행하는 미래 열까, 객체탐지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객체탐지 기술도 가장 먼저 차량 전방의 다양한 보행자, 신호등, 건물 등의 시각데이터를 대량으로 확보해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를 거칩니다. 이는 주행 중에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자동차 모델을 만드는 기업에서 차량 출시 전에 완료하는 과정이죠. 학습이 완료된 차량이 실제 주행하면, ... ...
- [최신이슈] 모방 범죄 일으키는 유해 콘텐츠, 조정 효과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긍정적으로 여기는지, 중립적으로 여기는지를 라벨링(분류)했다. 예를 들어 “나는 그 대량 총격 사건이 싫다”는 게시글은 부정적, “100킬만 더 하면 좋을 듯”과 같은 게시글은 긍정적, “우리나라에서 더 이상 총기 사건이 일어나지 않길 바란다”는 내용은 중립적이라고 구분했다. 연구팀은 ... ...
- [최신 이슈] LK-99 논란으로 다시 본 상온 초전도체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09호
- LK-99가 탄생했는지는 제작자들도 모른다는 뜻이다. 제작법이 공개됐음에도 샘플을 대량으로 만들지 못한 이유다. 단적인 예로 ‘적절한 비율’로 ‘5~20시간 가열한다’는 조건을 어떻게 맞출 수 있겠는가. 최 교수는 “우연히 비슷한 물질이 나왔다고 해도 경우의 수를 모두 다 제작해보지 않는 한, ... ...
- [최신 이슈] 신약 개발에 불어온 새 바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적게 드는 방식”이라며 “크리스퍼-캐스9는 어느 누구나 쉽게 접근 가능하며 대량의, 신속한 연구에 적용하기 용이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유전자 가위는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차세대 유전자 가위를 개발하고 있는 배상수 서울대 의대 교수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DNA 이중나선을 ... ...
- [정대호의 ‘2039: 화성 일 년 살기’] 가지구이를 위해 떠난 화성 돌 사냥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화성에서 최초의 배설물 화석을 만들지 않았다는 사실에 안도할 수 있었다. 기지 안으로 대량의 화성 토양을 반입한 나는 지구의 화성연구소에 연락해 토양과 암석 반입 규정을 완화해줄 것을 요구했다. 화성 흙으로 식물을 키우는 연구를 하려면 우선 기지 안으로 화성 흙을 들여와야 하니까. ... ...
- [커리어] 3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STEM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인상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소량의 재료를 투입해 이 전기가 통하는 종이를 양질로 대량 생산하는 것이 화학공학이나 산업계의 목표에도 부합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데 주력했죠. 이 학생은 2021년에 서울대 화학공학과에 진학했습니다. Q. 흥미로운데요, 화학 외의 과목에서 진행 중인 STEAM 프로그램도 ... ...
- [5년 후, 과학은] 충전・교체 필요 없는 몸속 배터리 마찰전기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저항의 교류 전류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저장 효율은 아직 매우 낮습니다. 기존 변환기는 대량 발전에 최적화된 탓에, 소량의 교류 전류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장치도 개발돼야합니다. 마지막 문턱은 출력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입니다. 태양전지는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 같은 기관들이 ... ...
- [2039:화성 일 년 살기]상추로 우주의 평화를 수호하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식량이 부족해지더라도 긴급한 경우라면 5일 이내에 직접천이방식(direct transfer・대량의 연료를 소모하면서 빠르게 목표 천체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식량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래서 아직도 달 기지에는 농업 전문가가 없다. 달에서 식량을 얻을 지속 가능한 방식을 고안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 ...
- [뉴스%인터뷰] 독사 어금니 모방한 주사기로 코로나19 백신 맞는 날 올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aaw3329 우리 연구팀은 올해 4월, 뒷어금니독사의 어금니 구조물을 본뜬 새로운 주사기를 대량생산하는 데도 성공했다. 새로운 주사기와 기존 주사기의 가장 큰 차이는 약물을 넣어주는 구조물의 형태와 두께, 그리고 개수다. 기존 주사기에는 속이 비어 있는 20~50μl(마이크로리터μl는 100만 분의 1L)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