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원"(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 MBTI보다 정확한 유전자 검사 체험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영향을 준다는 뜻입니다. 돌이켜보면, 제가 원형 탈모를 앓았던 때 역시 스트레스가 큰 대학원 졸업 무렵이었고요. 유전자 검사 결과를 받은 후 며칠은 무슨 일만 생기면 ‘유전자 탓’으로 돌리곤 했습니다. “편집장님, 늦잠 자서 죄송합니다. 그런데 제가 유전자 검사 결과 저녁형 인간이라서 ...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필자소개임재한. 항공우주 엔지니어. KAIST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대학 졸업 후 드론의 자동 비행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엔지니어로 일했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dlawogks2005@gmail ... ...
- [과동키즈] "과학도의 역량은 어디서나 꼭 필요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제가 바란 삶의 방식과는 거리가 있었습니다. 과학 속에서 익힌 나의 원천 역량 이후 대학원의 재무 전공 석사과정을 거쳐 진로를 변경해 현재는 금융보험 분야가 전문인 전략 컨설턴트로 일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지금 제 영역은 과학과 다소 멀어졌습니다. 하지만 수학을 전공하며 훈련한 ... ...
-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데 성공했다”고 했다. 나데르는 독일 베를린자유대에서 데이터과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이다. 패리터와 나데르에게는 각각 4만 달러와 1만 달러의 상금이 수여됐다. 패리터는 수상 직후 자신의 X(트위터) 계정을 통해 “너무나 많은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았기에 가능했던 일”이었다며 ... ...
- [시사기획] 의대 정원 확대... 한국 의사공학자 만들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계획이 알려지자 KAIST, POSTECH, DGIST 등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들은 ‘과학기술 의학전문대학원’을 설립해 의사과학자들을 양성해 내겠다고 공표했다. 의사과학자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무슨 일을 할 수 있는지 살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시사기획] 의대 정원 확대... 한국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땄다. 그리고 2015년, 신약 개발 기업 온코크로스를 설립했다. 온코크로스는 KAIST 의과학대학원 졸업생의 1호 스타트업이다. 오전에는 의사, 오후에는 과학자가 만드는 신약 온코크로스에서 개발하고 있는 신약은 김 대표가 병원에서 환자들을 진료 및 치료하며 필요하다 판단한 것들이다. 2023년 초 ... ...
- [시사기획] 카이스트에서 의전원을? 의사공학자 탄생할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더불어, 의학을 이해하는 공학자를 양성하는 연구중심의대를 구상하고 있다. 의과학전문대학원 형태로 의학 교육 2년, 공학 연구 4년, 다시 의학 교육 2년 총 8년을 다니는 복합 학위과정이다. 미국의 칼 일리노이 의대(CICM)가 POSTECH 연구중심의대의 모델이다. 칼 일리노이 의대는 일리노이 주립대가 20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오랜 대학원 생활을 마치고 드디어 졸업한 삼엽충 연구자 김공룡 박사! 운 좋게 고생대학교의 신임 교수로 임용돼 드디어 자신만의 연구를 시작한다. 그러나 연구 환경을 꾸리기 위해서는 필요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 화석을 찾기 위한 탐사 장비, 분석 장비, 학술 서적은 물론이고 인건비까지 ... ...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대학원 탈출일지로 누군가의 길라잡이가 됐다는 게 기쁩니다. 과학동아 독자분들이라면 대학원이 미래가 될 수 있겠죠. 그 생활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그리려 노력한 작품입니다 ... ...
- [과동키즈] “꿈이 있다면, 자신을 믿고 도전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입자를 연구한다는 사실이 멋졌다. 또 다른 이유는 대학원 진학 직후 발표된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건설 계획이었다. 입자를 엄청난 에너지로 가속하는 가속기 시설은 핵물리 실험에 꼭 필요하다. 하지만 한국엔 최신 수준의 연구 시설이 없어서, 해외의 가속기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