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화
솜
원면
면담
이야기
대화
대담
d라이브러리
"
면화
"(으)로 총 2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뚝 선 메히코의 피라미드 나우아 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경작에 종사하게 된다. 그들은 주로 옥수수 콩 호박 고추 고구마 토마토 용설란 담배
면화
등을 재배했다. 용설란으로부터 그들은 풀케(Pulque, 우리의 막걸리와 비슷하다)란 술을 만들어냈고 망토 주머니 샌들 등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섬유를 추출해냈다.달력을 통치의 도구로아스테카족은 예술과 ... ...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도시간의 교역도 번창했다. 이들은 세계 최초로 옥수수와 카카오를 재배했다. 호박과
면화
등을 재배하는데도 특출한 재능을 보였다.마야인은 도시중심의 생활양식을 가지고 있었다. 도시의 중앙에 큰 광장을 만들고 그 주위에 신전 궁전 운동장 정원 등을 건축했다. 좀 떨어져서는 성직자와 귀족의 ... ...
잉카문명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발달과 훌륭한 관개시설을 들수 있다. 특수농작물로는 옥수수 감자 후추 고추 과일 담배
면화
코카 등을 꼽을 수 있다. 목축 및 가축동물로는 야마 알파카 개 꾸이(원주민들이 즐겨먹는 토끼모양의 작은 동물) 양 거위 오리 등을 길렀다.식생활수준도 대단히 높은 편이었다. 특히 옥수수로 만든 ... ...
아프리카의 모래해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연료자원으로 벌채되고 있는 것이 중요한 원인의 하나일지도 모른다. 단기간에 수확되는
면화
나 땅콩을 마구 재배하여 목초지까지 침해하고 해외원조로 우물파기가 성하면서 몇천기나 되는 우물이 땅속의 대수층(帶水層)을 뚫고 있는것도 중요한 요인일것이다. 사회적으로나 환경적으로도 ... ...
PART 1 금강산댐과 그 대응책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아랄해의 동쪽에 펼쳐진 건조지대는 소련 유목지대의 중심이기도 하다. 관개에 의해
면화
생산이 가능해지기는 해도 그대신 양모생산이 줄어들게 된다. 거기다 반중앙 정부적인 이슬람계 부족이 살고 있어 그 반발도 크다.아뭏든 대규모의 댐건설은 그 득실을 가리기가 쉽지 않은게 사실이므로 ... ...
별보는 요령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화에 접근한뒤 역이행(逆離行) 하니 이 세상에 큰 불행이 있을뻔 했다가 그 화를
면화
게 될 터인즉 안심하라···"라고 말했으리라. 바로 그 큰 불행이 있을뻔 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소련에서 일어난 '체르노빌'헥발전소의 방사능로(爐)가 녹아 버린 사고를 말할수 있을것이다. 이쯤되면, 나도 ... ...
기후는 생활문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製織技術)이 발달하였다. 우리나라에 있어 일찌기 섬유작물로 재배된 것은 마 저마
면화
등을 들 수 있고, 동물성 섬유로는 누에를 길러 비단의 원료를 얻었다. 추위를 막는 옷으로는 북쪽지방의 갓옷(皮衣)이 있어 갓두루마기 갓저고리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은 갓옷은 목축이나 수렵생활에서 ... ...
인도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지층으로 구성되어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북서부는 넓은 용암지대로 그 풍화토양은
면화
재배에 적당하다.인도받도의 해안은 동쪽과 서쪽이 달라 서쪽연안은 넓은 평야가 없다. 다만 북쪽끝에 카티아와르 반도가 튀어나와 커치만과 캄바트만을 만들고 캄바트만 연안에 구자라트평야가 전개된다. ... ...
한민족이 말달리던 천혜의 대지 중국 동북부지방(만주)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많이 나며 쌀은 한국인이 재배하기 시작하여 곡창지대를 이루었다. 요하평원에서는
면화
가, 하얼삔 부근에서는 아마가, 흑룡강성에서는 사탕무우가 많이 난다. 그밖에 양잠과 유축농업도 성하다. 동북분지는 겨울이 길기 때문에 작물 재배기간이 짧으나 비옥한 토양과 여름의 적당한 온도 및 ... ...
이전
1
2
3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