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무선"(으)로 총 936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레이저로 번개를 조종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7월부터 9월까지 뇌우가 쏟아지는 총 3시간 동안 이 장치로 레이저를 쏘고, 고속 카메라와 무선 안테나로 번개의 경로를 기록했어요. 연구팀은 레이저를 켠 상태에서 번개가 내리쳤을 때 번개가 레이저의 경로로 들어와 50m를 이동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레이저가 번개의 길을 안내한 셈이지요 ... ...
- [디지스트@융복합파트너] “효율적인 연산과 연결을 연구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엣지 컴퓨팅을 하는 방식을 주목하고 있다. 한국은 곳곳에 세워진 기지국이 한반도 내 무선 네트워크를 원활하게 연결하지만 땅이 넓은 미국이나, 러시아의 침공으로 기지국이 파괴된 우크라이나에선 상황이 다르다.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인 ‘스타링크’는 현재 우크라이나에 베타 서비스를 ... ...
- 던전 앤 드래곤 : 도적들의 명예수학동아 l2023년 04호
- 흡사하게 만든 모형에 무선조종 장치를 넣어 움직임을 원격으로 조종하는 기술입니다. 무선조종 모형으로 촬영한 뒤 컴퓨터 그래픽(CG) 기술로 이미지를 덧붙이지요. CG보다 질감 표현과 움직임이 좀 더 자연스러워 근접 촬영하기 좋아요. 이 기술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스노우 슈퍼바이저에게 ... ...
- [과동키즈] “과학자의 현장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언제나 가장 좋아하는 일 중 하나였고, 영어를 익히는 데도 큰 도움이 됐다. 둘째는 연구. 무선통신 이론과 당시 갓 부상한 사물인터넷(loT) 기술을 연구했다. 마지막으로 취업. 몇몇 회사의 면접을 봤고 잠깐씩 일하기도 했다. 또한 외국 언론의 기사를 한국어로 번역, 소개하는 ‘뉴스페퍼민트’라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넌 다리가 몇 개니? 귀뚜라미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활용해서 2mm 이하의 오차로 추적하는 데 성공했죠.크기가 큰 로봇에는 블루투스 같은 무선 통신 장비와 다양한 센서를 실을 수 있지만, 아주 작고 가벼운 로봇에는 적용하기 어려워요. 첨단 위치 추적 시스템이 마련되기 어려운 외부환경에서도 스마트폰 카메라 수준의 장비만 있으면 빛을 내는 ... ...
- [가상 인터뷰]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솔라리스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전기를 전송하는 기술을 검증하기 위해 2022년 9월 독일에서 2kW(킬로와트)의 전기를 무선으로 30m 거리만큼 전송하는 데 성공했어요. 솔라리스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죠. 또, 과거에는 인공위성을 우주 공간에 올려놓는 일에 비용이 많이 들었지만 최근 스페이스X의 팰컨 로켓 등 재활용 가능한 로켓 ... ...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WiFi’가 아닌 ‘LiFi’라 해서 사람 눈에도 보이는 가시광선 대역까지 오른 초광대역 무선 통신 기술들도 등장하는 것이 그 예이다. 문제는 전파, 적외선, 가시광선 순서로 주파수가 점점 증가하면 전자기파의 ‘직진성’이 점점 더 강해진다는 점이다. 특히 레이저는 직진성이 매우 뛰어난 특성을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피할 수 없고요. 작게, 스마트하게! 광음향 영상기술 트렌드 광음향 현상은 1880년 무선통신을 고민한 미국의 과학자이자 발명가 알렉산더 벨이 실험으로 처음 확인했습니다. 본격적으로 기초연구에 적용되기 시작한 건 1970년대부터입니다. 레이저 발생기, 컴퓨터 및 초음파 감지 기술 등 다양한 ... ...
- [특집] 집에서 만나고 응원봉으로 빛난다! 공연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비해 넓고, 전력 소모가 낮다는 장점이 있어요. 걸그룹 BLACKPINK의 응원봉 ‘뿅봉’은 무선통신 기술 대신 사람이 들을 수 없는 ‘비가청 주파수’의 소리를 인식할 수 있어요. 이를 이용해 BLACKPINK 공연 중 비가청 주파수 소리 신호를 섞으면, 뿅봉이 이를 인식하고 그에 맞춰 빛을 내죠.●특허정보넷 ... ...
- [시사기획] 인터넷은 누구의 것인가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업계의 뜨거운 화두였던 ‘망 사용료’ 논쟁을 격화하는 신호탄이 되었다. 도처에 깔린 무선 와이파이를 사용하노라면 인터넷이 눈에 보이지 않는 마법 같은 것이라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실제 인터넷은 와이파이 공유기와 모뎀, 서버, 이들을 이어주는 광케이블과 같은 기반 시설로 구축된 물리적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