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무죄"(으)로 총 7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저지른 범죄에 대해 대가를 치른 이들을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하는 행위라는 점에서 무죄추정의 원칙에 어긋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또 이런 유전자 데이터베이스가 거대한 국가 통제시스템으로 나아가는 시작점이 될 거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미끄러운 비탈길(slippery slope)’ 문제라고 하는데요. ... ...
- [수학뉴스] 수학의 변신은 무죄! 예술이 된 난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내로라하는 수학자도 풀지 못한 난제 중에는 문제 자체는 이해하기 쉬운 경우가 많아요. 콜라츠 추측도 마찬가지예요. 최근 영국의 수학저술가 알렉스 벨로스는 콜라츠 추측이 얼마나 풀기 어려운지 보여주기 위해 콜라츠 추측을 그림으로 나타냈어요.콜라츠 추측은 1937년 독일 수학자 로타르 콜라 ...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법정에서는 피고의 유죄가 입증되기 전까지 무죄라고 추정하지만, 여론은 피고의 무죄가 밝혀질 때까지 유죄로 생각한다”며 “반면 여론은 사과로 누그러질 수 있지만, 법정은 책임을 인정하는 순간 법적 책임을 묻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 딜레마 사이에서 법적 불리함을 없애는 데 ... ...
- [Tech & Fun] ‘싸인’의 ‘아이돌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죽음을 맞이하고, 김 씨의 여자친구가 유력한 용의자로 떠올랐지만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를 선고 받았습니다.소리 없는 살인, 비구폐색성 질식사드라마에서 서윤형의 여자친구이자 살인범인 강서연은 유력한 차기 대권후보의 딸입니다. 그래서 검찰에서는 서윤형 사건을 자살로 종결 지으려고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단지 실험데이터를 대표하는 통계량이 귀무가설과 매우 다르다는 것뿐이에요. 법정에서 무죄 추정의 원칙에 따라 실제로 죄를 지었어도 증거가 부족하면 소송을 기각하지요. 마찬가지로 P-value가 0.05보다 작은 값으로 나타나면 귀무가설을 지지하는 증거가 부족해 효과가 없다는 가정을 기각합니다. ... ...
- Part ➊ 건강한 경쟁이 건강한 숲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단, 검사는 A와 B에게 같은 조건을 제시한다.)➊ 네가 자백하고 공범이 침묵하면 너는 무죄로 인정한다(공범은 징역 3년).➋ 네가 침묵하고 공범이 자백하면 너는 징역 3년을 살게 된다(공범은 무죄).➌ 너와 공범이 모두 자백하면 두 명 모두 징역 2년을 살게 된다.➍ 너와 공범이 모두 침묵하면 두 명 ... ...
- 안절부절 당신, 스마트폰은 무죄!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커피를 주문하고 테이블에 앉는 순간 스마트폰을 꺼내 든다. 지하철이나 엘리베이터를 타도 손은 무의식적으로 스마트폰에 향한다. 스마트폰 때문에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겠다고 하소연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산만증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핑계’일 뿐, 사람은 원래 산만하다 ... ...
- 밀가루는 무죄!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저는 면 요리를 몹시 좋아합니다. 특히 요즘처럼 날씨가 추워지면 따뜻한 국물이 있는 국수가 자주 생각나지요. 다니는 길에 못 보던 국수 가게가 생기면 꼭 가서 맛을 보곤 합니다. 사실 국수만 좋아하는 건 아닙니다. 만두, 수제비 등 밀가루로 만든 음식은 거의 다 좋아합니다. 왜 하필 밀가루가 ... ...
- [매스미디어] 너의 목소리가 들려 죄수의 딜레마로 범인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징역을, A가 자백하면 3년의 징역을 살게 된다. 또 B가 자백하는 경우에는 A가 침묵하면 무죄를, A가 자백하면 2년의 징역을 살게 된다. 즉 죄수 B의 입장에서도 4가지 상황을 모두 고려했을 때, 자백하는 것이 유리하다.따라서 두 죄수는 상대방의 선택을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자신의 이해관계를 ... ...
-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수학동아 l2013년 02호
- 하지만 나해법 판사는 이런 변호사의 주장도 기각했다. 변호사가 판사와 배심원들의 무죄 판결을 이끌어내기 위해, 확률적인 증거를 피고에게 유리하도록 교묘하게 해석했다는 이유에서다. 비록 유전자 검사 결과만으로는 범인을 단정할 수 없지만, 10%라는 확률은 도시에 사는 100만 명 중에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