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투리
시골말
비표준어
시골 사투리
변말
은어
용어
d라이브러리
"
방언
"(으)로 총 41건 검색되었습니다.
2. 바닷속 우리 땅 우리 이름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봉우리 형상이 마치 탕건을 닮았다고 해서 붙인 ‘탕건봉’ 등 22개 이름에는 우리
방언
과 생활 풍습이 고스란히 담겨있다.2002년 8월 IHO에서 발행한 ‘해양과 바다의 경계’ 제4판 개정안이 세계 회원국들에게 전달됐다. 개정안은 ‘해양과 바다의 경계와 명칭’으로 바뀌면서 세계 156개 바다 이름과 ... ...
소금의 힘에 무너진 쇠소깍 아귀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소가 있다고 해서 ‘쇠소’라 불렀다고 한다. ‘깍’은 ‘맨 마지막’을 나타내는 제주
방언
으로 ‘쇠소’와 ‘깍’을 합쳐 쇠소깍이란 이름이 태어났다. 예로부터 마을에서는 가뭄이 들었을 때 쇠소깍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곧바로 큰비가 내렸다고 해서 ‘용연’(龍淵)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 ...
2 침팬지도 문장 만들 줄 안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팬트 후트로 인사를 했는데도 그들은 대꾸가 없었다. 구달 박사는 그 이유가
방언
때문일지 모른다고 설명했다.그러나 문제는 침팬지의 ‘언어’를 우리가 해독할 수 없어서가 아니라 그것이 해독을 필요로 할만큼 복잡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침팬지의 ‘언어’가 복잡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 ...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자신감을 느끼게 한다.말미잘은 왜 말미잘인가 정약전이 기록해놓은 흑산도 해양생물의
방언
은 2백년 전의 옛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어 생물 이름의 변화와 어원을 추적할 수 있는 훌륭한 자료가 된다. 오래 전부터 국문학자들이 이 책에 관심을 기울여온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었다. 석항호 ... ...
목소리는 제2의 주민등록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신체적인 특징을 덧붙여 활용하는 연구도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나이별, 성별, 그리고
방언
별로 다양한 환경에서 수집된 음성을 정밀하게 분석, 데이터베이스화해 개인별로 어떤 특징들이 구별의 단서가 되는지 연구한다면, 성문분석에 의한 화자 확인도 전혀 불가능하지 만은 않을 것이다. 많은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제주의 형성과 관련된 신화와 설화가 여럿 전해진다.오름은 기생화산을 뜻하는 제주
방언
이다. 기생화산은 한라산을 형성한 큰 화산 주위에 생겨난 작은 화산체다. 그런데 오름은 왜 이다지도 많은 것일까. 이것은 한번의 큰 화산폭발이 아닌 크고 작은 규모의 것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일어났음을 ... ...
암·수 따라 달라지는 새의 노래 습득능력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따라 약간씩 다르다. 노래 습득을 마친 추기경새가 다른 지역에 정착하려면 그 지역의‘
방언
’에 적응해야 한다.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력 면에서 수컷이 뛰어난 셈이다 ... ...
④ 생태 : 백두대간으로 이어진 한 몸의 남과 북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마련중이다. 그 기준으로 제안된 것은 생물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것, 오래된 것, 그리고
방언
보다 표준어에 가까운 것 등이라고 한다.금강산 개발로 철새 쉼터 잃어또다른 교류는 1996년부터 시작된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의 공동 연구로, 두루미와 저어새가 주요 대상이다. 이들 새가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세계에는 약 3천개의 언어가 존재한다. 이 언어에 딸린 수많은
방언
을 생각하면 그 수는 몇 곱절을 넘을 것이다. 일례로 인도에는 적어도 8백50여종류의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언어의 종류가 많다는 말은 그만큼 언어권이 다른 사람끼리 의사소통을 하기 어렵다는 점을 의미한다. 묘하게 이런 ... ...
④ 과학교육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실제로 대부분의 많은 용어들은 우리말과 같다. 언어에 있어서의 차이는 남한에 지방
방언
이 조화롭게 존재하는 것처럼 통일에 있어 큰 걸림돌이 되지는 않으리란 전망을 감히 해본다.이제 통일을 앞두고 남북한 과학교육과정을 어떤 방향으로 통일해야 할지 생각할 때다. 앞에서 살펴 본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