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법원"(으)로 총 158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근 효과는 있어도 채찍 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제915조에는 ‘친권자는 그 자를 보호 또는 교양하기 위하여 필요한 징계를 할 수 있고 법원의 허가를 얻어 감화 또는 교정기관에 위탁할 수 있다’고 규정돼 있었다. 지난해 10월 13일 법무부는 이 가운데 ‘필요한 징계’ 부분과 ‘감화 또는 교정기관에 위탁’ 부분을 삭제하는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 ...
- [진로체험] 잘나가는 엔지니어에서 법의 수호자로! 박의준 보리움법률사무소 변호사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알려주는 소프트웨어를 만들 계획이에요. 가압류를 신청해도 근거나 자료가 부족하면 법원이 거부할 때도 있거든요. 딱 봐도 거부당할만한데 변호사가 선임료를 받으려고 신청을 진행하는 경우를 막을 수 있죠. 궁극적으로는 문서를 인식하고 자동으로 법률서비스를 처리하는 인공지능 법률 ... ...
- [과학뉴스] 아시아 최초 청소년 기후변화 소송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청소년만의 기후변화 소송은 이번이 아시아에서 최초예요. 지난해 네덜란드에서는 대법원이 시민 소송단의 손을 들어주는 판결을 내리기도 했지요. 청소년기후행동 소속 김유진 학생은 “어과동 독자들도 온라인에서 진행할 서명에 참여하는 등 많은 관심을 가져주면 좋겠다”고 말했답니다 ... ...
- [특집] 건물 복도 액자 - 대체 암호를 왜 만드는 거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개봉을 앞두고 있던 때라 많은 언론의 관심을 받았는데, 재판을 맡은 피터 스미스 런던 법원 판사는 다빈치 코드의 일부분을 쓰기 위해 ‘성혈과 성배’를 참고했지만, 표절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런데 판결 이후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영국의 일간지 ‘더 타임스’가 판결문에서 ...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현재 법안대로라면 DNA 채취는 대상자가 동의하면 그대로 진행하며, 동의하지 않을 때는 법원으로부터 영장을 발부받아 진행한다. 하지만 영장 발부 과정에서 실질심사나 발부 이후 불복 등 구제 절차가 없다는 점이 문제가 됐다.DNA법이 헌법 불합치 판정을 받으면서 올해를 넘기고도 대체 법안이 ... ...
- 법률 자문 놓고 첫 대결 AI 변호사 vs. 인간 변호사 진검승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AI 중에서도 임 대표의 선택은 법률 AI였다. 임 대표는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기 전 대법원 법률자료 디지털 사업에 참여한 적이 있다”며 “당시 경험으로 법률이나 판결문 등 AI가 확보할 수 있는 데이터가 풍부할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임 대표는 “우리나라 법은 판례 중심의 ... ...
- 영감┃우주로 가는 탑승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블루오리진은 아마존의 최고경영자이자 소유주인 제프 베이조스가 설립한 회사로, 현재 재사용 로켓을 이용한 민간 우주 관광을 계획하고 ... 조지프 로슈가 마스원의 비리를 폭로한 데 이어, 2019년 1월 마스원이 스위스 바젤 민사법원에 파산 신청을 하면서 프로젝트는 잠정 중단된 상태다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무색, 무취, 독극물...니코틴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다음과 같았다. A 씨는 B 씨를 처음 만날 당시 수천만 원의 빚을 지고 있었고, 2013년 법원에서 파산 면책 결정을 받을 만큼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이 때문에 B 씨는 A 씨 가족에게 지속적으로 경제적 지원을 했다. 하지만 A 씨는 2015년 5월 마카오에서 C 씨를 만나 내연 관계를 맺었다. C 씨 역시 카드 ... ...
- 혈중알코올농도에 대한 과학적 쟁점 4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피고인에게 가장 유리한 전제사실에 따라” 운전자에게 무죄를 선고했다(대구지방법원 2014. 2. 13. 선고 2013노2309 판결). 음주운전을 엄벌하기 어려운 이유다. 음주 후 시간에 따른 혈중알코올농도 그래프 위드마크 공식 vs. 베이즈 방법 한성필 서울아산병원 임상약리학과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2 ...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강조했다. 엡실론 추측과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프랑스의 고등법원 판사이자 수학자였던 피에르 드 페르마가 1637년 제시한 것으로, 3차 이상의 방정식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a, b, c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리다. 종이의 여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이에 대한 증명을 남겨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