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통"(으)로 총 5,8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나누는 위도경도 격자를 사용해서 지구 곳곳의 날씨를 균일하게 예측하기 어렵다. 보통 한 조각에서 일정 개수의 점 위치를 정해 날씨를 예측한다. 문제는 극지방으로 갈수록 격자의 간격이 0km에 가까워져서 한 조각이 너무 작아진다는 점이다. 반대로 적도지방으로 갈수록 조각이 너무 커져서 ... ...
- 암흑물질의 증거 조각? 정말 이상한 구름 '누베'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있는 가장 가까운 이웃 은하는 누베로부터 무려 140만 광년이나 떨어져있는 UGC 929 은하다. 보통 TDG는 큰 은하에서 5~6만 광년 떨어진 범위 안에서 만들어진다. 따라서 누베가 UGC 929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떨어져나간 작은 조각 중 하나라고 보기는 어렵다. 누베는 사실상 주변에 아무런 이웃 은하가 ... ...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기자에게 소 분석관은 ‘119, 210, 211, 212’라는 숫자 패턴을 예시로 들었다. 우리는 보통 119 다음에 120이 올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숙련된 멀티미디어 복원 전문가의 눈에는 19, 20, 21, 22를 나타내되, 가운데에 숫자 1을 끼워 넣은 형태라는 게 보인다. 이런 데이터 속 규칙성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 ...
- 배틀그라운드 탄도학으로 총 잘 쏘는 법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총알 총알의 움직임은 포물선에 가깝다. 이를 염두에 두고 정확히 조준해야 한다. 보통 총알이 수평으로 나간다고 여기고 조준하는데, 총알이 수평으로 나간다고 해도 중력의 영향을 받아 결국은 아래로 조금 떨어질 테니(1) 수평보다 살짝 위로 쏴서 총알이 포물선을 그리도록 해야 목표 지점에 ... ...
- [숫자로 보는 뉴스] 해시계 읽는 법 알아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밝혀냈어요. 원구일영은 지름★의 공 모양 해시계로, 134년 전인 1890년에 만들어졌어요. 보통의 해시계는 한곳에 고정돼 있지만, 원구일영은 들고 다니면서 어디서든 시각을 읽을 수 있어요. 하지만 오랜 세월이 흐른 탓에 시계가 고장나고 부품이 사라지기도 해서, 정확히 어떤 방법으로 작동하는지 ... ...
- 최고의 타자 결정하는 6가지 지표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지표로, 리그 평균 수준의 타자를 100으로 두고 타자의 생산성을 상대적으로 비교한다. 보통 100이면 평균, 160 이상이면 최상 선수로 평가한다. 식이 복잡해 계산 과정은 생략했다. wRC+가 154.3인 노시환 선수는 KBO 평균보다 득점 생산력이 월등히 높다. OPS(공격 공헌도) 타자가 득점에 얼마나 ... ...
- 전략의 신 3. 철옹성 같은 수비벽 수비 시프트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하기란 쉽지 않다. 땅이 워낙 커서, 경기가 치러지는 날 딱 맞춰서 경기장에 가는 것이 보통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몇 년에 걸쳐서 여행 계획을 짜기도 한다. 만약 한 번 여행할 때, MLB 전 구단의 경기를 직관하려면 동선을 어떻게 짜야 할까? 수학자들이 이를 찾았다. 가야 할 지역이 정해져 ... ...
- 전술의 신 2. 상대 팀보다 +1 대형 짜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종류다. 대형은 선수를 경기장에 어떻게 배치하고 어떤 역할을 맡길 것인지를 나타낸다. 보통 대형에서는 선수를 공격수와 미드필더, 수비수로 나눠 얼마나 많은 선수를 배치할 것인지 표시한다. 골키퍼를 빼고 수비수가 몇 명인지 먼저 쓰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4-4-2라고 하면 수비수 4명, 미드필더 ... ...
- 홈 어드밴티지 정말 있을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보통 소속팀(홈팀) 경기장에서 경기할 때 이점이 많다고 한다. 늘 훈련했던 익숙한 잔디, 잘 아는 날씨, 열화와 같은 팬들의 응원 속에서 경기하면 심리적으로 안정되기 때문이다. 또 홈팀 경기장에서 경기하면 해당 선수들은 멀리 이동하지 않아도 되고, 평소 묵는 숙소에서 평소 먹던 음식을 먹으며 ...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차이가 상수뿐일 때 크기정도를 찾았다고 합니다. 영어로는 ‘order of magnitude’라하는데 보통 ‘크기 정도’ 또는 ‘계산 차수’라 불리고 있습니다. 조합론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크기 정도를 사용해 왔고 컴퓨터가 발전한 후로는 알고리즘들이 얼마나 효율적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표시할 때 크기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