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아"(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방정식으로 외계인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이 드넓은 우주에서 지구에만 생명체가 사는 걸까? 이를 고민했던 과학자들은 외계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밝히는 다양한 방정식을 만들었다. 그중 가장 유명한 건 미국 천체물리학자 프랭크 드레이크가 고안한 ‘드레이크 방정식’이다. 이 방정식으로 인간과 교신할 수 있는 지적인 외계 생명체 ... ...
- [특집] 개코와 똑같다?! 복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최근 한 유튜버가 자신이 키우던 반려견을 복제해 새로운 강아지 두 마리를 키우는 영상을 올려 화제를 모았어. 반려견을 어떻게 복제한 걸까? 복제 동물, 어떻게 태어날까? 여러분이 키우는 반려동물은 몇 살인가요? 반려동물의 시간은 사람보다 빠르게 흘러요. 강아지의 평균 기대수명은 12.69세, ... ...
- “과학자가 긍지를 느끼는 연구 생태계 만들고파”_황정아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전남과학고와 KAIST 출신 토종 여성과학자. 세계 최초로 편대비행에 나선 큐브위성 ‘도요샛’ 개발자. 책과 강연으로 대중과 만나던 과학 커뮤니케이터.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을 수식하는 표현은 다양하다. 여기에 ‘과학자 출신 정치인’이라는 말이 더해질지도 모른다 ... ...
-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2023년 과학동아의 ‘최애은하’ 연재로 독자들의 큰 사랑을 받은 지웅배 박사(연세대 은하진화연구센터)가 신간 ‘날마다 우주 한 조각’으로 돌아왔다. 365장의 다채로운 천문 사진과 이 우주의 풍경들에 착 붙는 설명들이 담겼다. “독자들이 책을 통해 우주의 다양성을 느낄 수 있길 바란다”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가장 빠르고 똑똑한 로봇 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단번에 미로를 풀어내는 로봇 쥐를 본 적 있니? 1등과 2등 로봇 쥐의 기록 차이는 불과 0.1초! 로봇 쥐가 복잡한 미로를 푸는 비결과 귀여운 햄스터에 대한 모든 정보가 담긴 영상을 함께 보러 가자. 비행기에 100mL가 넘는 액체류를 갖고 타면 안 되는 이유와 양치하고 입 안을 물로 꼭 헹궈야 하는지도 ...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지구도 방학이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기후 위기, 사람들의 일상 바꾼다우리는 지난 200년간 화석연료를 사용해 어두운 밤의 불을 밝히고, 전자제품의 편리함을 누려 왔어요. 하지만 전기를 만들며 배출된 탄소는 지구의 온도를 점차 높였죠.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전 세계 곳곳에선 여러 변화가 일어나고 있어요. 기후 위기, 사람들의 일 ... ...
- [SF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지난 줄거리선과 미아는 함께 공립 도서관의 유리 부스 안으로 들어 간다. 유리 부스에는 과거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컴퓨터가 있다. 인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과거 데이터에 접속한 선은 우연히 마이클 잭슨을 찾아낸다. 둘이 함께 마이클 잭슨의 영상을 보다가 갑자기 정전이 되고 우나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보여주는 것이 전부일까? 미디어 속 프레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나 에스곰은 며칠 전 길에 있는 쓰레기를 주웠어. 그런데 누군가 ‘악마의 편집’을 해서 사람들에게 공유했지 뭐야?! 어떤 미디어를 편집하는 ‘프레임’은 의도를 전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한편으로 악용될 수도 있어. 내 억울함을 들어줘!‘악마의 편집에 속지 않으려면?동영상을 직접 촬 ... ...
- 전략의 신 2. 고정관념 깨는 선수 기용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야구 경기에서 투수는 선발투수, 불펜투수, 마무리 투수 순서로 나온다. 보통 선발투수가 5~6이닝 동안 100구 내외로 던진다. 불펜투수들이 뒤이어 나와 8이닝 정도까지 던지고, 경기에서 이기고 있으면 마지막 1이닝은 마무리 투수가 나와 상대 팀이 점수를 내지 않게 틀어막아 경기를 마무리한다. ... ...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소셜 미디어 세상에 한 번 들어가면 한두 시간이 금방 지나간다. 그곳은 24시간 활기가 넘치고, 재밌는 것들로 가득 차 있다. 그 때문일까. 일단 시작하면 멈출 수 없고, ‘그만해야겠다’고 생각해도 빠져나오기 힘들다. 소셜 미디어에 접속하지 않을 때는 왠지 불안한 마음이 들고, 무언가에 홀린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