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명"(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동안 재료를 가져다준 게 너였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날, 곳간의 문을 열어본 분나도 고개를 갸우뚱했지요. “내가 가지고 있던 우유는 분명 1/4병이었는데, 모르는 사이에 2/3병이 늘었어. 두 병을 합치니 11/12만큼으로 많아졌네. 누가 나에게 선물한 걸까? 재료를 주고 간 고마운 분을 위해 맛있는 빵을 만들어야겠어. 만드는 김에 분나에게도 빵을 ... ...
- [퍼즐마법학교] 블루홀의 문은 일방통행?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통과해서 유니콘의 성에 도착했어. 역시 앙굴루스 왕의 깃발이 꽂혀있군. 성 안에서 분명 뭔가 도움이 될 만한 걸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서둘러 성으로 들어가려는데, 분더의 표정이 좋지 않았어. “무슨 일 있어?”걱정스런 마음에 묻자, 분더가 울먹이며 대답했어. “미로의 벽 말이야. 도형으로 ... ...
- [기획] KAIST 학생들의 실패라고 더 멋진 건 아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행사를 열었습니다. 한 번도 실패한 적 없을 것만 같은 KAIST 학생들의 실패 이야기라니, 분명 대단한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현장에 모인 관객들과 취재진 모두 그런 기대를 했을 겁니다. KAIST 학생들의 실패라고 더 멋진 건 아니었다“제 별명은 3호선입니다. 좋아하는 여자 친구와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모습을 드러내지도 못했을 것이다. 물론, 이 연구원은 “여전히 연구해야 할 불분명한 인류 염기서열은 남아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13, 14, 15, 21, 22번의 다섯 개 염색체는 서로 다른 염색체임에도 중심체 가까이에 똑같은 반복 서열이 존재해서 분석이 무척 어렵다. 또한, 같은 이유로 분열 ... ...
- [러셀 탐구생활] 제 12장. 러셀의 삶이 우리에게 남긴 것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인류에 대한 사랑을 잊지 않는다면 설령 실패와 좌절의 돌부리에 걸려 넘어지더라도 분명 여러분에게는 무릎을 털고 일어나 다시 달릴 수 있는 의지와 용기가 있을 것입니다. 그리하여 먼 미래에 자신의 삶을 되돌아볼 때가 되면 여러분도 러셀처럼 삶을 회고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기회가 ... ...
- [러셀 탐구생활] 제11장. 언제나 옳은 사상은 없다수학동아 l2023년 11호
- 1, 즉 0입니다. 그런데 말이죠. 확률이 0임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이 이 숫자를 맞히는 것은 분명히 가능했습니다. 아까 82를 외친 학생이 기막히게도 672,923,102,561을 외치고 저의 노트북을 가져갔을지도 모르죠. 따라서 이 사건은 확률이 0이지만 가능한 사건입니다. 이와 같은 사건의 존재는 확률의 ... ...
- [특별기고] 수학적 사고력 고루 평가하는 수능 되길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꼽은 문항 중 수학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문제가 대부분이라 생각하지만, 분명 제한된 시간 내에 풀기 너무 어려운 문제도 있습니다. 과거 수능의 역사에서 많은 학생이 수학을 싫어하게 만드는 초고난도 문제가 왕왕 나오곤 했는데요. 전 이런 문제가 수능에 나오는 이유는 교육과정의 범위가 ... ...
- [SF소설] 조이풀 데이즈 비하인드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정의된 개체들이었다. 미연과 괴한이 합의한 4차원 인간의 정의에 남성이 포함되었다면 분명 두-다리들에게 의심을 살 법했으나, 안타깝게도 혹은 다행스럽게도, 미연은 어차피 단성생식이 가능해진 이상 복잡한 분류법은 필요 없다고 여겼었다. 그리고 오미연의 얼굴을 한 미연qzw173 역시 제 선조의 ... ...
-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위한 인류의 시도라고 생각해요. “수학이 단순하다는 것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은 분명 우리의 삶이 얼마나 복잡한지 깨닫지 못하는 사람들이다.” 헝가리 출신의 미국 수학자 존 폰 노이만(1903~1957)은 이런 말을 남겼어요. 수학적 대상을 다뤄서 얻는 이점 혹은 이유를 가장 정확하게 요약해주는 ... ...
- [과학사 극장] 파스퇴르는 생명 윤리를 위반 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쥐필의 경우, 이들을 물은 개들이 실제로 광견병에 걸렸던 것인지에 대한 증거가 분명치 않았다. 1886년에는 광견병이 의심되는 개에게 물린 쥘 루예라는 열 살 소년이 백신을 접종받은 후 원인 불명의 이유로 사망했다. 소년의 시신에서 채취한 체액을 토끼에게 주입한 결과, 모두 마비성 광견병으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