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lockbuster
대작
초대작
d라이브러리
"
블록버스터
"(으)로 총 37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은 언제 가라앉을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일본열도를 침몰시키고 있다. 이번에는 170억원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비용을 들여 초대형
블록버스터
로 제작했다.유난히 지진과 화산으로 고통 받는 일본 사람들은 왜 스스로를 바닷속으로 가라앉히려고 할까. 정말 일본열도는 바닷속으로 가라앉아 전설의 땅이 될 수도 있는 걸까. 침몰 블랙박스 ... ...
'왕의 남자' 대박 비결, 스타보다 입소문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있던 ‘태극기 휘날리며’와 ‘실미도’는 100억원이 넘는 제작비가 투입된 대규모
블록버스터
영화였다. 이에 반해 ‘왕의 남자’는 제작비가 44억원밖에(?) 들어가지 않았다는 점이 흥미롭다. ‘왕의 남자’가 한국영화의 흥행 신기록을 갈아 치운 원인은 무엇일까.
블록버스터
‘태풍’을 ... ...
디지털패션쇼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정도로 단순하게 표현됐다는 것을 눈치 챘을 것이다. 막대한 자금과 인력을 동원한
블록버스터
영화에서 그 정도의 옷을 보여주는 수준에 그쳤다는 것은 거꾸로 이 기술이 얼마나 어려운지 짐작케 한다.옷을 3차원으로 재현하기 위해서는 옷의 움직임을 미분방정식으로 만들고 풀어야 한다. 옷을 ... ...
약효 올리고! 부작용 내리고!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흥행 실적을 올리면서 등장한
블록버스터
의 의미가 이제 제약계에도 도입되고 있다.
블록버스터
개량신약대표적인 블럭버스터 개량신약으로 한 해 동안 10조원의 매출을 올린 미국 화이자사의 콜레스테롤 저하제 ‘리피도’가 있다. 고혈압치료제 ‘노바스크’는 한 해 동안 세계적으로 4조5천억원 ... ...
사람 냄새 풍기는 디지털 액터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컴퓨터 그래픽 기술이 발전하면서 실사와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정교한 디지털 액터가
블록버스터
영화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디지털 액터를 실존하는 배우와 똑같이 표현할 수 있다면 굳이 실제 배우 대신 디지털 액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배우의 출연료가 너무 비싸서 제작비용을 ... ...
특집3. 사람 살리는 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동물세포에서 발현시켜 제품으로 만들었다. EPO는 시장 규모가 10조원이 넘는 ‘바이오
블록버스터
’제품이다.암젠은 기존 EPO에 당사슬을 2개더붙여 효능과 안정성을 10배 이상 증가시켰다. 이것이 바로 빈혈약 ‘아라네스프’. 글라이코믹스 기술이 의약용 당 단백질의 성능 향상에 효율적임이 ... ...
4. 우주는 뻥튀기한 것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발표했다. 즉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했던 것이다.팽창하는 우주라는
블록버스터
의 필름을 거꾸로 돌린다면? 지구, 태양, 은하 등 우주의 모든 물질은 결국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온도와 압력이 높은 상태의 한 점에 모일 것이다.1970년대 호킹은 로저 펜로즈와 함께 일반상대성이론을 ... ...
우주에서 펼쳐진 별들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1편 이전에 SF영화는 조잡한 B급 영화로 취급됐다”고 말했다. 당시 미국 영화계에서
블록버스터
라고 하면 대형 역사물을 뜻했다. 스타워즈 이전에 가장 잘 만든 SF영화로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가 꼽힌다. 걸작은 분명하지만 ‘대박’ 영화는 아니었다.스타워즈 이후 SF영화는 헐리우드 영화를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월 초 개봉한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투모로우’ 가 여름 극장가를 달구고 있다. 영화 ‘인디펜던스 데이’ 의 감독 롤랜드 에머리히가 2년여의 고심 끝에 직접 시나리오를 써가며 제작했다고 해서 개봉 전부터 큰 화제를 모았다.지구온난화로 극지방의 빙하가 녹고 전지구적인 해수순환이 멈추는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물리학이론을 비중있게 다룬 영화도 있다. 바로 키아누 리브스와 모건 프리만이 출연한
블록버스터
체인 리액션이다. 이 영화는 음파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바꾸는 현상인 ‘음파발광’(sonoluminescence)을 소재로 했다. 물론 제작진은 관련 전문가들로부터 자문을 받았고, 영화 촬영도 사실적 장면을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