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탈"(으)로 총 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곳곳의 이색 공항! BEST4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있는 작은 공항이에요.해발고도가 2845m로, 백두산 정상(2744m)보다 더 높은 곳에 있지요. 산비탈을 깎아 만든 활주로는 460m로 매우 짧고 경사져서, 헬리콥터나 이착륙 거리가 짧은 비행기만 다닐 수 있어요. 심지어 활주로의 한쪽 끝에는 산에 있고, 다른 한쪽은 2.8km의 낭떠러지로 이어져 있어서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온전히 발굴되는 유해는 전체의 1%에 불과하다”며 “둥근 모양인 머리뼈의 경우 비탈을 따라 굴러가는 경우가 많고, 설치류가 뼈에 이를 갈면서 사라져 버리기도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발굴된 유해는 한지로 곱게 싼 뒤, 관에 담긴다. 관을 태극기로 관포한 뒤에는 전통주 한 잔과 명태를 ...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모습으로 표현되곤 해요. 하지만 공룡도 코끼리처럼 진흙 목욕을 즐기거나 염소처럼 비탈길에서 풀을 뜯었을 수도 있지요.” 고생물 그림 작가로도 활동하는 박진영 연구원은 참가자들과 함께 공룡을 그려 보는 시간도 가졌어요. 참가자들의 상상이 더해져 색다른 공룡이 탄생했답니다. 박진영 ... ...
- Part 2. 수학자를 뛰어넘은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가장 뛰어난 수학자들이 평행선 공리 증명에 도전했어요. 그리고 번번히 실패를 겪었죠. 비탈도 평행선 공리에 도전했던 사람 중 하나였어요. 그리고 ‘지오다노의 정리’를 만들어 페르시아 수학자 오마르 하이얌 이후 600년간 제자리였던 평행선 공리를 한 단계 발전시키는 데 성공했어요 ... ...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본 장식을 모두 관찰할 수 있었답니다. 산 위에서 사는 사람들 차가 구불거리는 산비탈길을 오르자 대원은 모두 멀미를 호소했습니다. 그래도 올라간 보람이 있었죠. 태국과 미얀마, 캄보디아가 만나는 산 도이 퉁은 지금까지 본 어떤 산보다도 활기찼습니다. 이곳은 30년 전만 해도 살기 힘든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거대한 국가 통제시스템으로 나아가는 시작점이 될 거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미끄러운 비탈길(slippery slope)’ 문제라고 하는데요. 마치 한번 미끄러지기 시작하면 저 아래까지 쭉 미끄러지듯이, DNA로 표현형을 추정하는 연구가 법과학에서 시작되면, 언젠가는 일상적으로 유전자 검사를 하는 ... ...
- 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지역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제공했어요. 쪽방촌은 좁은 지역에 집들이 빽빽하게 붙어 있는 지역이에요. 대부분 높은 비탈길에 있고, 건물 사이의 길이 좁고 복잡해 사고가 날 경우 소방차나 구급차가 접근하기 어렵지요.하지만 이제는 정밀지도 덕분에 소방차나 구급차의 진입로 뿐만 아니라, 보수가 필요한 부서진 가로등이나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못한 사람도 있다. 영국의 자연주의자이자 작가인 찰스 포스터는 실제로 동물처럼 산비탈에 굴을 파거나 벌레를 잡아먹기도 했다. 그는 오소리, 여우, 수달, 사슴, 새 등 다섯 종의 동물로 산 경험을 ‘짐승 되기’라는 책(ISBN 978-1781255346)으로 펴냈다. 그는 토마스 트웨이츠와 함께 생물학 분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비탈길에서 구슬이 굴러 내려갈 때 비탈길의 경사가 가파를수록 빨리 내려가지요? 비탈의 기울기가 달라지면 구슬이 아래 방향으로 받는 중력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이에요. 기울기 센서는 이와 마찬가지로 센서가 기울어질 때 센서가 받는 중력의 방향과 크기를 측정해 기울기를 계산해요. 그에 ...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9호
- km으로 약 5km를 걸어갈 수 있다. 곤충을 모방한 이유는 다리가 여섯 개라 네발동물에 비해 비탈길이나 계단을 오르고 내릴 때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또 실제 곤충처럼 다리를 구부리거나 옆으로 걸을 수도 있다.치타 로봇실제 동물처럼 걷거나 빠르게 달리는 로봇미국 MIT(매사추세츠 공대)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