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고방식"(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공동교육과정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공동교육과정은 쉽게 말해 현재 다니는 학교에서 배울 수 없는 과목을 방과 후나 휴일에 다른 학교에서 다른 학교의 학생들과 함께 수강할 수 있는 제도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 경주고에서 물리를 가르치며 고급 물리학, 물리학 실험 등 공동교육과정의 과학 전문 교과목 수업들을 진행한 김현정 ... ...
- [특집] 2030년에 10만 개 쏟아진다? 배터리 재활용 풀어야 할 숙제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유럽연합(EU)의 입법부인 유럽의회는 올해 6월, 일명 ‘배터리법’을 본회의에서 승인했습니다. 환경을 위해 배터리 생산 시 재활용 광물 사용 비율을 의무화하겠다는 내용입니다. 미국이 지난해 도입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서도 폐배터리 재자원화에 대한 세계의 관심을 엿볼 수 있습니다. 배 ... ...
- 천재성이 빛났던 순간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타오 교수는 어떤 인생을 살아왔을까? 그는 평생 천재적인 면모를 보여왔다. 학창 시절에는 수학적 이해가 빨랐던 ‘영특함’으로, 수학자가 되어서는 분야를 넘나들며 수십 명의 공동연구자와 동시에 방대한 연구를 하고, 미지의 영역을 개척해내는 ‘독창성’으로 늘 주목 받았다. 평범해지려고 ... ...
- [일타수맨스] 떠오르는 젊은 일타 강사 ★ 안가람의 성공 비법 ★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요새 대치동 학원가엔 90년대생 젊은 강사가 뜨고 있어요. 입시제도가 시시각각 변하는 와중 트렌드에 민감한 ‘알파세대’의 취향을 저격하고 있거든요. 그중 안가람 시대인재 수학 강사는 수강생에게 수준 높은 수학 문제와 기발한 풀잇법을 제공해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그 비결이 수학자를 ... ...
- [이달의 책] "지금 바로 직녀성부터 찾아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신화 너머의 밤하늘로 이끌린 독자들 별자리의 매력을 알게 된 한국의 독자들에게 오랫동안 큰 사랑을 받아온 책이 있다. 이태형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관장이1989년에 출간한 ‘재미있는 별자리 여행’이다. 서울대 화학과에 재학하며 빠져든 천문동아리 활동의 경험을 살려서 이 책을 출간했던 ... ...
- [과동키즈] 과학자, 작가, 예술가의 공통점은 ? 가치관에 대한 끝없는 고민이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문제라도 서로 같은 방식으로 푸는 사람이 없다. 풀어낸 결과엔 과학자만의 가치관, 사고방식이 들어있다.” 그래서 과학자는 다른 사람을 어떻게 이길지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나만의 색깔(연구방식과 가치관)을 어떻게 만들지 고민하는 게 중요한 직업이라고 생각합니다. 1등이 아니어도 충분히 ... ...
- [이달의 책] 인간처럼 생각하는 로봇과 살아야 한다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별보다도 빛나는김준녕 지음│채륜서292쪽│1만 6800원 인공지능과 로봇을 생각할 때 우리의 기준은 여전히 우리 자신, 즉 인간이다. 인공지능 혹은 그것을 탑재한 로봇이 인간과 얼마나 비슷해질 수 있을지, 인간과 완전히 똑같아질 수는 있을지 없을지, 있다면 그 방법은 무엇인지를 생각하는 영 ... ...
- 문제 채점을 협상으로 한다! 수학동아 l2023년 09호
- IMO에서는 치열한 협상 끝에 문제의 점수를 결정합니다. IMO 집행위원회는 대회 전 IMO 출전 경험이 있는 대학생, 대학원생으로 코디네이션 팀을 꾸립니다. 코디네이터는 문제 채점 위원이라고 보면 돼요. 시험이 끝나면 각 코디네이터가 담당하는 나라와 채점해야 할 문제가 결정돼요. 시험이 끝나 ... ...
- [최신 이슈] 해결 못한 후쿠시마 오염수 의문들 AS 해드림!과학동아 l2023년 09호
- Q. 일본이 제시한 데이터를 믿을 수 있을까 편집부도 취재를 하며 가장 답답했던 부분이었습니다. 과학적 검증을 하기 위해선 전제 조건과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바꿔 말하면 전제와 데이터를 믿을 수 없다면, 그걸 바탕으로 한 과학적 검증도 무의미해집니다. 과학자들이 ‘도쿄전력이 제공한 데 ... ...
- IMO 출신, 대학원생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9호
- 경시대회에 나오는 대부분의 수학을 다루지 않아요. 하지만 IMO 준비를 하면서 수학적 사고방식의 기본적인 틀을 잘 다질 수 있었어요. 어떤 형태의 논증을 특정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지 떠올리는 직관은 문제를 풀면서 많이 배울 수 있었거든요. 이 직관을 지금도 항상 사용하고 있어요. 그래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