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위
등위
등수
서열
랭킹
스탠딩
d라이브러리
"
석차
"(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첫 조기졸업생 낸 민족사관고등학교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민족사관고는 일찍 겪었다. 1996년 입학한 30명 중 19명이 학교를 떠났다. 이 30명은 전국
석차
가 상위 1%에 드는 중3 학생들 중에서 4.5 대 1의 경쟁을 뚫고 입학한 ‘영재’였다. 그러나 상당수가 전례가 없는 교육방법에 적응하지 못했거나, 시행착오가 많은 신설학교의 맹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떠났다. ... ...
과학고·과기원 입시총정보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1차 서류심사 합격자 발표가 있는데 고등학교 전과정(3학년 1학기까지)의 학업성적과
석차
를 보고 1백점 범위내에서 점수가 주어진다.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도 특별전형에 응할 수 있다. 과학고 2학년 학생들과 일반고 2학년중 1학년 학업성적이 전체에서 3% 이내에 든 학생에게 응시자격이 주어지는 ... ...
정보화시대의 기술인력 기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올해 입학생을 전원 추천제로 뽑았다. 자격기준은 중학교 3학년 성적순위가 전교
석차
상위 1/4 이내인 서울시내 중학교 여학생으로 색맹 색약 사지(四肢)부자유자 10지중 결손자는 응시할 수없다.경쟁율은 1.45대1. 학교측은 당분간 추천제 입학제를 유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
한글을 잘쓰는 요령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정렬한다. 이 기능으로 주소록을 이름순으로 정렬하거나 성적표를 성적순으로 정렬하여
석차
를 낼 수도 있다.●목차 만들기 : ① 특수문자 기능으로 제목 표 그림 목차를 표시한다. ② 목차만들기를 선택한다. ③ 제목 표 그림 목차 중 하나를 선택한다. ④ 파일의 이름을 입력한다.●메일 머지 : ① ... ...
수학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논문이 빈번하게 실리고 있어 그 저력이 만만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북한보다
석차
가 한등 아래(20위)인 일본은 알다시피 우리와 비슷한 교육체계를 갖고 있어 여러모로 좋은 참고가 된다. 일본이 IMO에 인연을 맺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무튼 '참패'를 면치 못할 것이라는 일본팀 단장의 ... ...
과학고·과기대 가는 길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점수 90점을 합한 9백90점이 만점이다.내신은 거의 합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전체
석차
10%안에 드는 학생들에게만 응시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이다.특별전형으로 1차를 면제받는 학생도 있다. 국제수학 올림피아드 참가자, 전국수학·과학경시대회에서 대상 또는 금상수상자, ... ...
로터스로 작성하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먼저 지난호에서 설명한 대로 로터스의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이용하여 소트(sort)를 하고
석차
를 일렬로 매겨 놓아야 한다. 그 이유는 매크로가 완벽하려면 꽤 긴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하는데 로터스가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이용하여 기초적인 작업을 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기 때문이다.(그림4 ... ...
애매함을 수용하는 교육환경이 필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과학고의 설립 취지현재 전국의 7개 과학고등학교는 중학교 3년간의 평균 성적이 전교
석차
상위 3% 이내인 우수한 학생들이므로 이들 역시 대학입시 훈련에서 벗어나 과학의 본질적 활동에만 종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문교부 산하 ... ...
로터스로 자료관리를 해보자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이 워크시트에
석차
번호를 넣으면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는 완성품이 만들어진다.
석차
번호는 직접 입력해도 되지만 학생의 수가 많아지면 상당히 귀찮은 작업이다.
석차
번호의 입력은 /Data Fill 기능으로 간단하게 처리가 된다. 이 기능은 일련번호를 입력할 영역, 시작 번호, 증가치, 끝 번호를 ... ...
전공을 두번 바꾼끝에 통계학에 정착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재미있게 해보려는 자세는 매우 중요하며, 이런 태도가 은연중에 생기면 반에서의
석차
등도 저절로 향상될 것이다. 사람의 마음은 마음먹기 나름이라는 옛말이 있다. 스스로에게 "나는 학문을 좋아한다", "나는 공부가 재미있다" 등을 암시하고 노력하다보면 어느 땐가는 그렇게 될 것이다. 이같은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