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3년의 사투, 코로나19 팬데믹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수 있는 혈액 속 바이러스의 최소량을 기준으로 시뮬레이션한 것이다. 혈액 1mL당 감염된 세포가 105.0개일 때 전염성이 남아 있다고 가정한다면, 획일적 방법의 경우 10일 후 격리 해제된 환자가 여전히 감염력이 있을 확률이 0.9%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때 환자가 여전히 감염력이 있을 확률을 5% ...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가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런 뇌손상은 2차 문제를 일으킨다. 손상된 부위로 면역세포가 몰려들면서, 전극이 뇌파를 보내는 뉴런에서 멀어져 신호의 질이 떨어진다. 강도가 강한 칩이 뇌손상을 일으키고, 그 결과 칩에 전달되는 뇌파 신호까지 약해지면서 굳이 침습적 방식을 사용해 BCI ... ...
- [기획] 혈당 스파이크? 기자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동안 사용하고 다시 갈아야하는 장비 하나가 10만 원 가량 하니까요. 현재 한국에선 베타세포가 파괴돼 인슐린이 거의 분비되지 않는 제1형 당뇨병 환자들만 구매 시 보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행히 CGM이 혈당을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는 아닙니다. 김 교수는 “CGM은 고혈당이 여러 ... ...
- [가상인터뷰] 소변을 연료로 쓰는 나노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치료 효과도 높은 편이야. 카탈루냐생명공학연구소 크리스티나 시모 연구원은 “다른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목표로 하는 곳에만 집중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은 암 치료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어 ... ...
- [뉴럴링크] BCI 기술의 네 가지 미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인간의 뇌 기능을 모방한 AI 반도체 ‘뉴로모픽(Neuromorphic)’ 칩과 배양된 뇌신경세포의 신경망을 연결해, 인공신경망과 자연신경망이 신호를 주고받도록 하는 연구가 이뤄졌다. 셋째, 현재까지는 주로 뇌 신호로부터 정보를 읽는 ‘리딩 BCI(Reading BCI)’ 기술이 발달했다면, 앞으로는 뇌에 직접 ... ...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몸은 폐, 심장, 뇌 등 기관이 모여 구성된다. 이 기관을 잘게 쪼개면 세포가 된다. 세포는 물, 단백질, 지질 등 분자로 이뤄진다. 분자는 원자 여러 개가 붙어있는 형태다. 벌써 당신을 원자까지 쪼개는 데 성공했다. 원자는 19세기 인류가 알던 우주의 가장 기본적인 입자였다. 물론 그 뒤로도 우주를 ...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이뤄진 경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doi:10.1016/j.jare.2023.08.012 하지만 아직 이 세포들을 가지고 모양과 기능을 갖춘 치아로 만드는 방법은 찾지 못했습니다. 정 교수는 “치아의 구조와 모양을 모사할 수 있는 스캐폴드(지지대) 개발 연구와 치아 발생 연구가 둘 다 완성 단계에 이르고, 두 연구가 ... ...
- [과학뉴스]노란 소변 속에 숨겨진 장내미생물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역할이 크다는 정도가 알려졌을 뿐이었다. 지난 1월 3일, 브랜틀리 홀 미국 메릴랜드대 세포생물학 및 분자유전학과 교수팀은 빌리루빈을 유로빌리노겐으로 전환하는 ‘빌리루빈 환원효소’를 찾았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미생물학’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64-023-01549-x홀 교수팀은 ...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반대로 수컷의 형질을 발현하도록 하는 유전자를 제거할 경우 정소의 세포들이 난소의 세포로 바뀌는 모습도 관찰됐습니다. 이 밖에 호주의 턱수염도마뱀은 다 자란 수컷이 32C 이상의 기온에 노출되자 암컷처럼 알을 낳았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그럼, 왜 모든 동물이 성전환을 하진 않는 걸까요 ... ...
-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10.1523/JNEUROSCI.3097-16.2017 편도체의 억제성 뇌세포가 강하게 자극되면, 편도체의 흥분성 뇌세포들이 활성화되는 것을 막는다. 이에 따라 편도체의 주요 기능인 충동 행위 억제 기능이 줄며 중독을 일으키는 자극적 행위에 쉽게 빠져들 수 있다.해당 연구를 함께 살펴본 김주현 선임연구원은 “비록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