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향
사운드
음파
음성
음
목소리
말
d라이브러리
"
소리
"(으)로 총 4,39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리
로 식별하는 지진 전조 현상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자연재해다. 그러나 지진이 언제 어디에서 발생할지 예측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특정한
소리
를 식별하면 지진의 전조 현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2019년 미국 로스 앨러모스 국립연구소 연구팀은 직접 만든 2차원 수치예보 모형에 지진이 일어난 상황을 시뮬레이션해서 지진의 ... ...
[과동키즈] “우리의 목
소리
를 외계로 전하는 과학을 상상합니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활동한 지 올해로 만 10년이 됐죠. 데뷔 당시 제 음악은 전기 회로가 만드는
소리
를 이용한 다소 우울한 분위기의 음악이었던 까닭에 ‘우울한 회로’라는 이름이 썩 잘 어울린다고 느꼈습니다. 또한 저는 우리 삶의 상당 부분이 행복의 순간을 기다리는 ‘언해피함’으로 이뤄졌다고 봤어요. 그래서 ... ...
[가상인터뷰] 소변을 연료로 쓰는 나노로봇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나노로봇은 너무 작기 때문에 배터리를 장착하기 어려워. 그래서 동력을 얻기 위해 빛,
소리
, 자기력 등을 대체 에너지원으로 활용해 왔어. 하지만 나는 소변을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연구팀은 외부 표면에 구멍이 많은 입자 ‘실리카’를 이용해 나노로봇을 만들고, 소변의 주요 성분인 요소와 ... ...
[가상 인터뷰] 새끼에게 젖 먹이는 양서류 발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방어 행동이나 땅을 팔 때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소리
를 내는 줄 알았대요. 그런데
소리
를 내는 게 피부를 비비는 것과 함께 밥을 먹고 싶다는 신호였다는 걸 알아냈어요. 연구팀은 저희의 이런 행동들이 처음 발견된 만큼 아직 밝혀야 할 게 많지만, 부모 돌봄 방식의 진화에 관한 기존의 이해에 ... ...
[Chapter1] 기후 재앙에 맞서다!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푸리에 법칙Part5. 지금과 다른 2억 년 뒤 세계지도Part6. 경사계로 화산 폭발 감지Part7.
소리
로 식별하는 지진 전조 현상Part8. 미리 알고 태풍 피해 막기Part9. 침투 이론으로 산불 진행 ... ...
[미술X과학]만남에서 태어난 우주의
소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부딪치며 청아한
소리
를 낸다. 관람객들은 그 주위에 모여 앉아 만남이 자아내는
소리
에 귀를 기울인다.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설치된 프랑스의 예술가 셀레스트 부르시에 무주노의 작품 ‘클리나멘 v.9(Clinamen v.9)’의 전경이다. 클리나멘은 고대 로마의 철학자 루크레티우스가 원자의 운동에 ... ...
[SF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미안해, 선! 괜찮아? 내가 너무 배려 없이 뛰었지?”“괘괜찮아허억근데선생님허억목
소리
를허억들었어”“너 너무 힘들어서 헛것을 들었구나? 잠깐 기다려봐. 내가 물 떠올게!”선은 혼자 뛰어나가려는 미아의 팔을 꽉 붙잡았다. 미아가 멈칫하고 돌아봤다.“급수대가 바로 이 근처에 있어. 금방 ... ...
[포토뉴스] 수염고래가 물속에서
소리
내는 비밀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급격히 늘어난 선박 교통 소음의 주파수 범위 및 수심과 완전히 겹친다”며 “고래는
소리
에 의존해 의사소통을 하므로 소음에 대한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
[기획] 혈당 스파이크? 기자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감고 어플리케이터를 팔뚝 아랫부분에 댄 채 버튼을 눌렀습니다. ‘퉁’. 스프링 튕기는
소리
와 함께 부착이 완료됐습니다. 걱정했던 것과 달리 바늘에 찔리는 고통은 전혀 없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카카오헬스케어에서 출시한 혈당 관리 앱 ‘파스타’를 다운로드받아 CGM과 연동시켰습니다. 앱은 ... ...
[기획]
소리
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비행기의 앞과 뒤에서 만들어져, 지상의 관찰자는 비행기가 지나갈 때 두 번의 ‘쾅’
소리
를 듣는다. “즉 초음속기에서 최대한 약한 소닉 붐을 만드는 것이 관건입니다.” 2월 1일 만난 김규홍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조용한 초음속기 기술의 핵심을 이같이 설명했다. 충격파는 초음속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