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용"(으)로 총 1,3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죽어서도 색 바꾸는 호그피쉬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말한 색소세포의 색소 과립이 빛을 흡수하거나 반사하기 때문에 색소세포 아래에 있는 광수용체로 들어오는 빛의 파장이 달라지는 거죠. 그래서 죽어서도 달라지는 빛 파장을 감각하고 그에 맞춰 피부색을 바꿀 수 있는 거랍니다. 아, 참고로 제 색소 과립은 파장이 짧은 빛인 청색광을 가장 잘 ... ...
- [특집] 쓰임 다한 배터리가 모이는 곳 미래폐자원 거점수거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내 코발트, 망간과 같은 다른 금속 산화물은 여과해서 분리합니다. 마지막으로 리튬 수용액에서 물을 증발시켜 탄산리튬(Li2CO3)을 얻습니다. 또 다른 추출 방법인 습식제련은 유가 금속 회수율이 좋아 대부분의 재활용 공장에서 채택하는 방법입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뤄지는지 습식제련 공장을 ... ...
- [기획] 왜 기분 좋아질까? 음악과 뇌에 대한 궁금증 4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음악을 들려주고 반응을 관찰했다. 이때 한 번은 그냥, 한 번은 뇌에서 오피오이드 수용체를 차단하는 날트렉손을 투여한 뒤 음악을 들려줬다. 그리고는 안면 근육, 심박수, 호흡수 등을 측정하고 설문조사로 참가자들의 기분을 평가했다. 그러자 날트렉손을 투여받은 참가자는 음악에 감정적 ... ...
- [최신이슈] '제로 슈가’ 전성시대 대체 감미료, 직접 먹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다양한 미각수용체 중에서도 단맛을 느끼는 것은 T1R2와 T1R3라는 단백질로 구성된 수용체다. 이 단백질에 감미료 물질이 결합해 대뇌로 신호를 보내면 단맛으로 인식하게 된다. 단맛을 내는 가장 중요한 감미료는 탄수화물 기반의 당 분자들이다. 포도당, 과당, 설탕, 젖당 등이 그 예인데, 이들은 ... ...
- [과학사 극장] 홍대용은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였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못해서, 사율법을 풀이로 대신 내놨던 것일까? 사실 홍대용이 다룬 사율법은 주해수용의 핵심 개념은 아니었다. 홍대용이 제시한 대표 개념은 초반부에서 제시한 승제였다. 그리고 수리정온에서는 승제와 사율의 관계를 “승제의 사이에 사율의 이치가 이미 묵묵히 들어있다. 비록 승제라고 이름 ... ...
- [제로슈거] 음료부터 과일, 약까지 점령!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수크랄로스는 설탕보다 600배 정도 달아요. 과자에 주로 들어가는 사카린 분자는 쓴맛 수용체와도 결합하기 때문에 단맛과 쓴맛이 함께 느껴질 수 있답니다. 건국대학교 융합생명공학과 오덕근 교수는 “감미료마다 특성이 달라 각각 다른 식품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예를 들어 ... ...
- [통합과학 교과서] 손끝으로 읽는 점자책을 만들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통해 뇌로 전달돼요. 뇌에는 여러 감각을 담당하고 처리하는 영역이 있어요. 예전 경험과 수용체로부터 전해진 정보를 비교해 어떤 감각인지를 판단해 주죠. 이를 통해 방금 쓰다듬으려고 했던 것이 강아지의 털인지, 선인장의 가시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답니다. # 통합 과학 만들기햅틱 기술로 ... ...
- [인포그래픽] 2023 신약 개발 키워드 30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책임연구원은 “억제제는 단백질 의약품의 주요 메커니즘”이라면서 “병원체가 인체의 수용체에 작용해 병을 일으키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마이크로바이옴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로 이뤄진 생태계를 뜻한다. 인체의 미생물 생태계를 조절해 병을 치료하는 마이크로바이옴 ... ...
- [SF 소설] 라스트 찬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빠져나왔다. 전속력으로 가야 했다. 시간에 맞추려면. 아이사의 처형일 하루 전에 진은 수용소에 도착했다. 아이사는 포로용 감옥에 수감돼있었다. 처형일 전에 포로와 접촉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법이었다. 그러나 진은 대위의 지위를 이용해 아이사를 만날 수 있었다.“헤타이트족에게 ... ...
- AI로 디자인의 지평을 넓히다 국민대 AI디자인학과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있다”고 설명했다. 취업 전망이 밝다는 의미다. 주 교수는 “편견없이 새로운 지식을 수용하고, 기존에 없던 것에 도전하는 데에서 즐거움을 느낀다면 AI디자인학과가 잘 맞을 것”이라며, “융합형 인재로 혁신적인 발명을 하고 싶은 학생들의 많은 관심 바란다”고 말했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