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호"(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뱃속에서 덜덜덜! 포만감 올려주는 캡슐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따라 위벽이 늘어나고, 이를 감지한 위벽 팽창 감지 수용체(IGLES)가 활성화돼 뇌로 신호를 보내면 포만감을 느낀다. 연구팀은 IGLES가 자극을 받아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진동을 일으키는 알약, ‘바입스(VIBES墉ibrating Ingestible BioElectronic Stimulator)’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인간과 위 구조가 비슷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수 있다는 게 특징이에요. 리모컨 안테나가 보내는 신호를 본체의 안테나가 받고, 이 신호가 전기로 바뀌며 탱크가 움직이죠.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는 크게 리모컨과 탱크 본체 두 단계로 나뉘어요. 우선 버튼이 2개 달린 리모컨 기판에 배터리 박스와 안테나를 연결해 리모컨을 만듭니다. 그다음,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담긴 소리를 선별해야 합니다. 여러 소리가 섞여 있는 방대한 양의 소리 녹음 중 무엇이 신호이고 무엇이 잡음일까 해석해야 합니다. 제대로 된 소리 데이터를 최대한 많이 수집하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쇠돌고래는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소리를 많이 사용합니다. 40Hz 수준의 저주파부터 20 ... ...
- 타디그레이트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메타버스, 뉴로어스를 구현해냈다. 이즈음부터 인간들은 뉴로어스에 접속하기 위해 신경 신호변환기 삽입술을 받는 것을 안경을 맞추는 것만큼이나 일상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뉴로어스에 접속해 각종 콘텐츠를 즐기며, 직접적으로 수용하게 되는 고순도 감각에 매우 큰 ...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0년 넘게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 그러던 2013년 5월, 이탕 장 교수가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장 교수는 두 소수의 간격이 7000만 이하인 소수 쌍이 무한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 소수의 간격이 2이면 쌍둥이 소수 추측이 해결된다. 장 교수는 이를 증명할 때 ‘GPY 체 법’이라고 ...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인공지능(AI)을 활용해 150TB(테라바이트) 크기의 전파 데이터를 분석하고 8개의 이상 신호를 발견했다고 밝혔죠. 외계 지성체를 찾기 위한 두 번째 방법은 ‘우주’라는 파티장을 살피며 직접 말을 거는 겁니다. 이렇게 적극적으로 우주에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METI(Messaging to Extra-Terrestrial Intelligenc ...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거의 모든 재료에 쓰인다. 기판 위 필요한 곳에만 구리 도금을 해서 부품들이 전기 신호를 주고 받게 만드는 것이다. 구멍을 뚫고 내부를 구리 도금하면 기판 위 아래에 있는 부품도 연결할 수 있다. 구리 도금을 포함해 몇 가지 도금 공정을 거친 후 PCB 위에 필요한 부품을 조립하면 우리가 사용하는 ... ...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온 채널을 엽니다. 나트륨 채널은 세포막에 존재하면서 신경세포에 전달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열리고 닫히며 나트륨 이온을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입니다. DDT를 투여하면 나트륨 채널이 닫히지 않아 나트륨 이온이 계속 빠져나갑니다. 나트륨이 부족한 신경세포는 지속적으로 흥분해 빈대는 ...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놓은 서류를 내 앞으로 밀었다. 난 국장의 얼굴을 잠시 쳐다보고는 서류를 열어보라는 신호임을 알아채고 재빨리 그 서류를 집어서 첫 장을 펼쳤다.“이건” 서류를 펼쳐든 나는 흠칫 놀랐다. 국장이 건넨 서류는 바로 ‘마더’의 범죄 예측 보고서였다. 그리고, 그 보고서에 등장하는 인물은 다름 ... ...
- [4컷만화] 우주에서 명중! 레이저로 통신 성공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우주선과 교신하는 방법은 인터넷처럼 전파를 이용하는 거예요. 전파는 먼 거리에서도 신호를 잡기 편하지만, 거리가 멀수록 에너지가 급격히 약해져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정보량이 적어요. 이 때문에 우주 과학자들은 전파에 비해 훨씬 압축된 레이저로 정보를 주고받는 심우주 광학 통신을 연구해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