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시아"(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가장 무서웠던 지진은 어떤 지진일까요? 건강하게 살을 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시아비만학회장 가천대학교 김경곤 교수는 ‘당 5g 다이어트’를 제안했어요. 세 끼 식사를 다 하되, 중간에 먹는 간식은 당 함유량 5g짜리로 선택하는 방법이죠. 당을 덜 먹으면 식욕이 억제돼 식사량을 ... ...
- 타임지 선정 현존하는 최고 물리학자, 수학과 물리학의 교차로 놓은 에드워드 위튼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이론물리학에 큰 공헌을 한 한국계 미국 물리학자 이휘소의 이름을 딴 학술상으로, ‘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에서 뛰어난 업적을 세운 물리학자에게 수여해요. 이휘소상 수상위원회는 세계적 저명도와 뛰어난 성과 등을 고려해 위튼 교수를 올해 수상자로 선정했어요. 위튼 교수는 2004년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교수의 바쁜 내한 일정 가운데 10월 24일 POSTECH 내부에 위치한 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에서 직접 만나 1시간 가량 대화를 나눴습니다. Q. 이휘소상 수상을 축하드려요. 이휘소상을 받아서 영광이에요. 대학원생이었던 1973년 당시 대부분의 물리학과 학생이 이휘소 박사의 논문을 읽었던 것으로 ... ...
- [포토뉴스] 세상에서 가장 큰 꽃 라플레시아 멸종 위기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키의 절반보다 큰 라플레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큰 꽃으로 통한다. 라플레시아는 동남아시아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등지의 정글에서 자란다. 열대 포도나무에 기생하는 기생 식물이면서 고기 썩는 냄새를 풍겨 ‘시체꽃’이라고도 불린다. 이런 라플레시아가 멸종 위기에 처했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 ...
- [SF소설] 조이풀 데이즈 비하인드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무게 실어…… 탄자니아서 단성생식 케이스 추가 보고…… 프랑스 연구팀, 중앙아시아서 단성생식 집단 대거 발견…… ‘모두 똑같은 얼굴을 한 디스토피아’……미연qzw173의 손가락이 기사의 사진 위에 머물렀다. 매닝에게는 익숙한 모습이었다. 복식이 낯설 뿐 지금의 클론층과 다를 바가 없었다. ... ...
- [독자기고] 세계 큐브 협회 월드 챔피언십 2023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수 있었다. 세계 큐브 챔피언십에 참가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도 못 했다. 더군다나 그게 아시아 두 번째로 한국에서 개최된 대회라니. 앞으로 펼쳐질 4일이 무척 기대됐다. 스태프는 담당 업무에 따라 러너, 스크램블러, 심판, 그리고 데이터 입력팀 등으로 나뉜다. 스태프의 역할은 선수가 대기석에 ... ...
- [과학사 극장] 홍대용은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였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홍대용과 그의 지전설이었다. ❋필자소개김슬기. 서울대 과학학과 박사과정 연구원. 동아시아 전통 천문학사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다. friends1133@naver ... ...
- DAY1.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붙었다가 지금의 새 건물이 생기면서 ‘존스홀’로 이름이 바뀌었어요. 존스홀은 현재 동아시아 및 근동학과가 사용하고 있어요. 존스홀이 수학과 건물이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는 장소가 딱 두 곳이 있어요. 먼저 교수 휴게실 창문을 보면 수학 기호가 써진 스테인드글라스로 장식돼 있어요. ... ...
- [과학사 극장] 다윈은 용물용설을 부정하지 않았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비난을 두려워해 20년 동안 공개하기를 망설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만약 1858년 동남아시아를 탐사하며 독자적으로 진화론을 발전시킨 자연사학자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의 논문이 다윈에게 도착하지 않았다면, 종의 기원이 나오기까지 더 오래 걸렸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런 소심한 이미지와 달리 ... ...
- [냠냠! 어수잼] 완벽한 '원'은 지름에서부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오래전,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약 6000년 전 서아시아★에 살았던 수메르인들은 이미 원의 성질을 알고 있었어. 그 증거가 바로 원의 둥근 모양을 이용해 만든 바퀴야. 기록에 의하면, 수메르인은 인류 최초로 둥근 바퀴를 단 수레를 만들었어. 그 수레를 이용해 무거운 물건도 나르고, 사람도 태우고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