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목"(으)로 총 18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룹 IT 서비스 업무를 총괄 담당하며, 은행을 벗어나 경영 관련 업무까지 안목을 넓혔다. 이런 노력 덕분일까. 그는 올해 1월, 경영진과 IT 담당자들의 소통을 담당하는 하나은행 최고정보책임자(CIO)(최고정보보호책임자(CISO) 겸직)로 은행에 복귀했다. 그는 “최고정보책임자로 근무하는 동안, IT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자기 분야에서 최고가 되는 것이지요.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엔지니어로서 거시적인 안목을 가지고 큰일을 하고 싶습니다.” 전 이사는 후배 엔지니어들이 즐겁게 일할 수 있도록 돕고, 고객 회사에 훌륭한 솔루션을 쓸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이 앞으로의 목표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 ...
- 빅 데이터와 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기술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전문가가 되겠다는 열정과, 열정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경험을 통해 미래를 볼 줄 아는 안목을 가진 학생들을 원합니다.졸업 후 진로는 어떻게 되나요? 연구실과 IT기업인 SAP간의 긴밀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미 석·박사 과정의 연구실 학생들이 SAP에서 다루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 ...
- 과목별 올림피아드·경시대회 정리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자연스럽게 다른 과목에 대한 선행을 어떻게 해야 할 지 직접 판단할 수 있는 안목도 생기죠. 의지와 상관없던 공부가 아닌 원해서 하는 공부를 찾을 수 있도록 과학동아와 공신닷컴 멘토가 여러분과 함께 찾겠습니다 ...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축, 경사면 등 40개가 넘는 발명품을 만들었습니다. 이만 하면 공로상 탈 만하죠?수학적인 안목을 갖춘 화가이자 발명가레오나르도 다빈치(1452.4~1519.5)저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은 저를 화가로만 알고 있더군요. 제가 그린 , 이 워낙 유명해서 이해는 하지만, 좀 억울합니다. ... ...
- 막연한 꿈은 그만. 구체화하라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챙겨 보고 책도 읽어야 한다. 사람도 많이 만나야 정보력이 생긴다. “사람을 보는 안목도 있어야 해. 일을 혼자 다 할 수는 없으니까 말이야. 작은 일부터 시작해. 기획하고 시행착오도 겪으면서 해야 한다. 모든 힘은 책에서 나와. 책을 많이 읽어.” 그런데 O학생은 학교에서 필독서로 지정한 책 ... ...
- 수학으로 변신! 패션왕수학동아 l2012년 04호
- 보이고 폭도 넓어 보인다. 수학을 품은 패션패션에 대해 어느 정도 알았으니, 이제 안목을 높여 봐야겠어요. 그런데 수학을 주제로 하는 패션쇼도 있다고요? 그렇다면 이런 기회를 놓칠 수 없죠. 수학을 품은 패션의 세계에 대해 알려 주세요! 수학과 패션은 전혀 관련 없는 줄 알았는데, 수학을 ... ...
-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밝혔다.세계의 과학도시와 경쟁할 한국의 과학도시가 탄생할까. 분명한 것은 장기적인 안목으로 계획을 세우고 투자를 하지 않고서는 격차를 줄이기가 절대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다. 뒤쳐지지 않으려면 계속 달려야 하는 ‘붉은 여왕 효과’를 극복하려면 더 빨리 달리는 수밖에 없다. ... ...
- 기후변화 시대 생활을 디자인한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신경을 쏟고 있다. 안전한 삶을 결정하고 생활을 디자인하는 수문학자로서, 긴 안목으로 사람들과 소통하고 지역과 호흡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믿는다.김 교수의 최근 연구 경향을 한마디로 묶을 수 있는 단어는 ‘통합’이다. 통합은 ‘흐르고 흘러 한자리에 모여 바다를 이루는’ 물의 ... ...
- 신나게 꿈꾸고, 치열하게 도전하라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점을 충분히 부각시켜야 해. 그리고 대학에 가면 부족한 공부를 어떻게 하고 세상을 보는 안목을 어떻게 키워나갈 것인지를 써야지.”자기소개서에는 스스로 자신의 부족한 점을 메우기 위한 계획을 쓰는 것이다. 잘못하는 것을 일부러 빼고 숨길 필요는 없다. 학생이니까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