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류
산업종류
d라이브러리
"
업종
"(으)로 총 89건 검색되었습니다.
알뜰살뜰 세뱃돈 불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세뱃돈의 80% 정도가 소비시장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
업종
의 경기가 설이 지난 뒤 활기를 띠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실제로 한 대형 쇼핑몰에서 상품이 팔리는 경향을 분석한 결과, 지난 해 설 직후에 MP3 플레이어와 디지털 카메라 등 10만~20만 원대 상품의 ... ...
세상을 바꾸는 여성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데다 직책도 기술직이 아닌 관리직이다.“제가 입사할 당시 분위기에서는 전기전자
업종
인 통신회사에 다니는 여자는 희귀종이었어요. 처신에 많은 고민이 생기더군요. 처음엔 자신감 없어하고 엉거주춤한 모습을 보이는 일이 많았어요.”남성이라면 겪지 않아도 됐을 법한 어려움을 거치며 이 ... ...
미래의 환경 전사, 레버쿠젠에 모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등 첨단 화학재료와 농업약품을 생산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화학그룹이다. 이 같은
업종
특성상 바이엘은 종종 환경단체의 표적이 돼 왔다. 이 회사가 UNEP와 공동으로 주최하는 환경교육사업과 각종 사회공헌사업에 연 4500만 유로(약 770억 원)를 투자하며 환경기업 이미지 쌓기에 공을 들이는 이유 중 ... ...
시들해진 마음에 불을 질러라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거리의 슈퍼마켓이나 잡화점들이 아예 복권만 전문적으로 발행하는 복권방으로
업종
을 변경하기도 했다.로또 열풍은 어떻게 생긴 걸까? 그리고 왜 학자들은 로또의 열기가 금방 가라앉을 거라고 예상했을까? 소비자 심리와 관련된 연구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로또 같은 새로운 이벤트가 처음 ... ...
주식투자에서 실패 않는 법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투기수요를 억제하기 위해 부동산 관련 세금을 많이 물겠다고 하면 악재로 작용해 건설
업종
주가는 10% 하락할 것이다.물론 과거의 자료만으로 모든 것을 설명하기는 힘들다. 주식시장에 구조적인 변화가 생겨 주가의 변동 패턴이 아예 변할 수도 있다. 시시때때로 쏟아지는 수많은 변수는 ... ...
노다지 꿈꾸는 북한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한몫 잡을 수 있는 이른바 ‘노다지’로 인식됐다.오늘날 IT, BT 등 지식정보산업이 주력
업종
이 된 한국에서 지하자원 개발은 사양 산업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하지만 중국의 ‘자원 싹쓸이’에 국제 광물시세가 급등하면서 안정적 자원 수급 문제는 고유가와 함께 다시 세계 경제의 화두로 떠오르고 ... ...
4. 과학자가 증권가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가끔은 인문계 출신 애널리스트가 이공계 대학원을 다시 다닌다. 대우증권에서 제약
업종
을 담당하고 있는 임진균 애널리스트는 대학에서 경영학을 공부하고 애널리스트로 일하다가 지난 99년 중앙대 의약식품대학원에 진학해서 석사학위를 받았다.대학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미국에서 경영학을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10m급 적외선 관측기기 실용화 201920 실시간 수자원 통합관리 기술 개발 201421 3D
업종
용 로봇 개발 201222 초전도체 전력기기 실용화 20172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입자 개발 201824 투수성 도로포장재료와 재활용 기술 개발 201325 위성항법 시스템 실용화 201826 자생생물 탐색·평가·보존 위한 네트워크 구축 2 . ...
LG전자 사장 백우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그 주인공이다.그는 매년 2조원이 넘는 연구개발비를 쓰는 제품 개발의 총지휘자다. 전자
업종
같은 첨단기업일수록 기술 분야의 의사결정을 총괄하는 CTO(Chief Technology Officer)의 역할은 막중하다. 한번 제품 개발의 방향을 잘못 잡으면 회사의 존립까지도 위태로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그가 6년 전 ... ...
마린 테크놀로지로 '마린토피아' 를 꿈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달하는 연구원들이 이미 바다에 대한 열정과 끈기로 가득차있기 때문. 해양연구는 ‘3D
업종
’ 이라고 불러도 무색하지 않을 만큼 연구가 힘들다. 바다에 직접 가지 않고 바다를 연구할 수 있는 방법은 없기 때문이다. 1년 3백65일 중 바다에서 보내는 시간이 2백69일인 경우도 있다. 그래서 매년 연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