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정"(으)로 총 4,0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지구사랑탐사대의 새로운 리더 등장! 자연과인간 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망둥이도 보고, 저어새를 관찰한 적도 있어요. 2024년에는 다 같이 철새를 관찰하러 갈 예정이에요. Q. 사마귀의 먹이를 매일 찾아준 적이 있다고요? 집에서 사마귀를 키우다 보니 사마귀가 어떤 먹이를 좋아하는지 다 알게 됐어요. 학교 다녀오는 길에 사마귀가 잘 먹는 지렁이를 직접 찾아오느라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CETI 연구팀은 해당 데이터를 기후-통제 데이터센터에 보관하고 오픈소스로 공개할 예정입니다. 또한, AI를 활용해 코다의 구조를 분석하고 향고래 챗봇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AI 알고리즘으로 고래 외의 또 다른 동물들의 소리를 해석하려는 시도도 있습니다. 미국의 ‘지구종프로젝트(Earth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뤼튼테크놀로지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23년 12월 19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2024년 1분기 AI 에이전트를 탑재한 ‘뤼튼 2.0’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작동 방식을 간단히 설명하면 이렇다. ‘양배추로 요리하는 법을 알려줘’라고 물으면, 여러 언어모델 중 가장 적절한 대답을 내놓을 언어모델을 찾아 답을 받고, 그 답을 다시 LLM을 ... ...
- 형태만큼 다양한 쓸모 , 로봇 트렌드 톺아보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등 분야에 활용되기 적합하다고 내다본다. 이를 위해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추가 개발할 예정이다. QR코드를 스캔하면 테트라플렉스의 활약을 영상으로 볼 수 있다. 하이퍼쉘 ⎪ 외골격 로봇은 다리, 팔, 허리 등 신체 부위에 착용해 근력과 안정성을 보강하는 장치다. ‘입는 로봇’이란 뜻의 ...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말했다. 2024년 하반기엔 한국에서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하기 위한 국제 협약이 체결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현재 유럽연합(EU)은 탄소국경조정제를 논의하고 있다. 홍 교수는 “국제사회의 이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한국 정부가 일관적인 정책 방향성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 [4컷만화] 우주에서 명중! 레이저로 통신 성공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지구에서 계속 멀어지고 있는 프시케 탐사선은 앞으로도 레이저 교신을 시도할 예정이에요. 이번 시도는 지구에서 1600만 km 떨어진 거리에서 도전해 성공한 거예요. 이전 최고기록은 2021년 발사한 아르테미스 2 우주선이 성공한 달과 지구 사이(약 38만 km) 교신이었답니다 ... ...
- [시사기획] 카이스트에서 의전원을? 의사공학자 탄생할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아직 경쟁력을 다투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024년 1월,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수를 확정할 예정이다(기사 작성일 12월 13일 기준). 국내 의사과학자 양성에도 그에 따른 변화가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유로 취소되거나 예산 삭감을 당합니다. 유명한 예가 미국 텍사스주 사막에 건설될 예정이었던 ‘초전도 초충돌기(SSC嘄uperconducting Super Collider)’입니다. SSC는 둘레만 약 87km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입자가속기가 될 계획이었습니다. 물리학의 표준모형이 품고 있는 궁금증을 풀어줄 것이란 ... ...
- AI, 예보에 도전장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재해 위험등급 지역을 구분해 AI에 학습시킬 예정이에요. 예보관들이 AI가 제공하는 맞춤 정보를 지방자치단체, 경찰청, 소방청에 제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국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돕는 게 목표죠. 현재 개발하는 AI들은 올해 내부 평가를 거쳐 2025년 ... ...
- [과학동아 X 서울시립과학관] 공간과 콘텐츠의 연결 과학동아를 과학관에서 만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다른 한 편에는 책꽂이가 들어와 천문우주, 물리학, 뇌과학 관련 과학 도서들이 자리할 예정이다. 이런 공간을 100배로 즐길 수 있는 팁이 있을까. 신 과장에게 물었다. “어느 날은 뉴턴의 정원에 와서 뉴턴처럼 책을 읽으며 사색해 보고, 어느 날은 허블의 공간에 와서 책에 대해 허블처럼 논의하고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