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수성"(으)로 총 1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UNIST 입학학생처장 곽상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UNIST는 1단계 평가를 위해 학교생활기록부(이하 학생부)와 자기소개서, 2개 이하의 우수성 입증자료(선택)를 제출하도록 한다. 제출 서류 중 학생부는 교사가 작성하기 때문에 학생 스스로가 UNIST의 인재상에 부합하는지 드러낼 수 있는 서류는 자기소개서다. 1~3번 문항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 ...
- [신학기 특별기획] 영재학교·특목고·자사고 합격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관련된 심화학습 또는 탐구활동과 관련된 문항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지원자의 재능과 우수성을 입증해야 한다. 외국어고와 국제고도 자기소개서에 영어 등 인증시험 점수, 교내외 대회 입상실적, 자격증 취득 사항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기재 시 0점 처리한다. 또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암시 ... ...
- 학생부의 의미와 중요성, ‘학종’ 선발 왜 늘어나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하 학생부) 교과 성적이나 수능 성적과 같은 정량적인 결과로 지원자의 우수성을 평가했다. 그래서 성적이 동일한 A학생과 B학생은 평가도 동일하게 받았다. 같은 성적, 다른 학생을 알려주는 학생부두 친구는 성적은 같지만 좋아하는 가수가 다른 것처럼 어떤 책을 읽었는지, 장래에 어떤 일을 ...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용해 장력을 분산시키는 연구였다. 결과도 좋았다. 그 연구로 2015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도 뽑혔다. 그랬던 그가 어떻게 기존 방식을 버리고 배터리에 분자기계를 적용하겠다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했을까. 최 교수는 다른 분야에서 부피 팽창을 어떻게 제어했는지 연구 결과를 ... ...
-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비롯됐다는 지적이 많다. 최근 국내에서는 연구 내용을 더 깊숙이 들여다보고 독창성과 우수성 등 연구의 질적인 측면을 평가하려는 R&D 평가 시스템이 시도되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2. 100년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바꿨다면 왜 바꿨는지 등 그 이유에 대해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연구 과정의 과학적 우수성을 입증하면 문제 삼지 않는다”며 “오히려 연구비가 늘어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테뉴어 받아도 연구 질 떨어지면 OUT이런 기준은 테뉴어(종신직) 연구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엄밀히 말하면 ... ...
- [과학뉴스] DNA로 만든 다이아몬드 구조 광결정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광결정 구조는 넓은 범위에서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할 수 있어 1990년 소자로서의 우수성이 알려졌지만, 실험적으로 구현하지 못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가 광결정 구조 기반의 디스플레이, 레이저, 센서 분야를 개척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수월해졌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2015년에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선정하는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꼽혔다. 3537개의 부재로 이뤄진 한옥조립모형전 교수의 열정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쌓은 정보와 노하우를 이용해 한옥 모형 개발에 뛰어들었다. 지난해 완성한 ... ...
-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미국의 ‘2015 스파크 어워드’와 ‘2015 대한민국 굿디자인’에도 선정됐다. 우수성을 두루 인정받은 셈이다. 이 제품은 정 교수팀이 산학 프로젝트로 디자인한 ‘아프로뷰 S2’로, 속도나 경로 정보를 자동차 앞 유리가 아닌 본체 너머 도로에 보이는 것처럼 나타내는 ‘허상거리 구현 방식’의 ...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2012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50선’으로 선정된 연구에 대해 알려주세요.현대 수학에서는 답을 찾기 전에 답이 모여 있는 모임을 먼저 파악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많이 써요. 바로 답부터 찾는 게 어려우니까 답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모임, 즉 공간에 대해 먼저 연구하는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