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웅덩이"(으)로 총 161건 검색되었습니다.
-
- ‘꿈틀’ 깔따구 유충 나온 수돗물, 정수 과정에서 대체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충분히 들어올 수 있고, 또 활성탄 여과지의 상층부를 밀폐하지 않아 깔따구 성충이 물웅덩이를 산란처로 이용할 수 있다고 봤다. 조사단은 활성탄 여과지 건물 안으로 유입된 깔따구 성충이 여과지에 알을 낳아 깔따구 유충이 번식했고, 이것이 수도관을 타고 가정집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했다. ... ...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시기다.해빙 캠프는 해빙의 높이, 표면의 거친 정도, 융빙호(해빙이 녹아 만들어진 물웅덩이) 유무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한다. 아리랑 5호의 영상레이더가 촬영한 영상은 해빙 표면의 거친 정도를 정밀하게 표현하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면 연구자들이 접근 가능한 최적의 해빙 캠프를 찾을 수 ... ...
-
- 영구동토, 온실 기체를 뿜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지반이 꺼지며 물이 고이는 ‘열카르스트’ 지형이 생기는데, 이 지형이 생기면 물 웅덩이 아래의 영구동토는 더 빨리 녹으며 온실 기체를 방출한다고 설명했지요. 연구팀은 미국 알래스카와 러시아 시베리아의 영구동토 지역을 다니며 열카르스트 호수 72곳에서 메탄 기체가 얼마나 방출되는지 ... ...
-
- 벌레로 벌레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함께 모기의 천적으로 모기를 줄일 수 있는지 실험하러 왔지요.모기는 비 온 후 생긴 물웅덩이나 폐타이어 등 물이 고인 곳에 300~400개의 알을 낳아요. 모기의 유충인 장구벌레는 2주 이내에 모기로 성장해요. 연구팀은 이전부터 모기를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는 천적 후보를 찾아왔어요. 이번 ... ...
-
- [현장취재] 탐험으로 만나는 더 큰 세상! 탐험대학 제주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수를 세어 봤어요. 확인 결과, 약 20%의 모형이 상처를 입었는데, 그중 현무암이 많은 물웅덩이 지대에 설치된 모형이 가장 공격을 덜 받은 것으로 나타났지요.실험 후 김진혁 학생(양평 양일중)은 “연구 프로젝트는 처음 해 봤는데 다양한 변수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해 아쉬웠다”며, “개구리 ... ...
-
- [실전!반려동물] 우리 새가 달라졌어요 : 편식 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등 대부분의 반려새들은 비가 자주 내리는 열대 기후에서 왔어요. 떨어지는 빗물과 웅덩이를 이용해 샤워하는 데 익숙하지요. 따라서 새장에서 키우는 새에게도 주기적인 목욕이 필요해요. 대부분의 종은 분무기를 이용해 깃털 위로 물을 뿌려 주면 돼요. 깃털의 먼지가 씻겨 내려갈 정도로 충분히 ...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개구리가"찜"했다? 개구리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사는 곳에 주로 나타나 이런 이름이 붙었어요. 물이 차올랐다가 빠지기를 반복하는 웅덩이나 논, 개천 가장자리가 개구리자리에겐 최고의 집이거든요. ‘놋동이풀’이라고도 하는데 옛날 우물가에서 물을 긷는 놋동이(놋쇠로 만든 동이)를 내려놓는 곳에 자주 보여서 그렇게 불렸지요 ... ...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일종인 잔물땡땡이는 논과 같이 비교적 넓은 구역에서 활동하고, 광릉왕모기 유충은 웅덩이와 같이 좁은 구역에서 서식한다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왕모기의 유충이 다른 소형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는다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알려졌는데, 국내에 서식하는 왕모기는 광릉왕모기가 유일하다”고 ... ...
-
- 한국에서 가장 흔한 빨간집모기의 항변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없어 웅덩이가 넓을 필요도 없다. 오히려 우리의 천적이 살지 못할 만큼 아주 좁은 물웅덩이가 생존에는 더 유리하다.다만 딱 하나, 물이 흐르면 안 된다. 수서곤충 체면에 민망하긴 하지만, 사실 대부분의 모기 유충들은 수영을 잘 못한다. 물이 흐르면 아무 저항도 못한 채 그냥 물이 흘러가는 대로 ... ...
-
- 세계 첫 민간 달 착륙선 '베레시트' 실패가 남긴 것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처리해 큰 암석의 위치를 추정하거나 착륙지 근방의 경사도, 웅덩이 분포 등을 조사하는 기술이다. 한국은 2020년께 550kg급 시험용 달 궤도선을 개발할 예정이다. ‘베레시트 이펙트’ 기대 이스라엘 측은 베레시트 실패에도 낙담하지 않았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