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운
d라이브러리
"
음소
"(으)로 총 36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통신에 뿌리내리는 한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컴퓨터와 절묘한 조화를 이루며 정보사회를 이끌어가고 있다. 한글은 가장 발달한
음소
문자로서 컴퓨터에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판에서 왼쪽에는 자음을 배열하고 오른쪽에는 모음을 배열해 자유롭게 문자를 조합하고 생성하는 우수한 체제를 갖고 있다.우리나라 청소년이 자유롭게 ... ...
미국의 이라크 전에 대한 각국의 지지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기준으로 만들어진 문자로 자음과 모음의 분간이 있는 글자다 한글, 로마자 등이
음소
문자에 속한다현재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자연과정의 원인들이 동일한 방식과 강도로 과거의 모든 지질학적 과정들에도 똑같이 작용했다고 보는 견해로서, 19세기 스코틀랜드 지질학자 라이엘의 '지질학 원리 ... ...
정보화시대 앞서가는 한글의 과학성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사용해야 하는 중국이나 일본보다는 유리한 입장에 있다.앞서 설명한 대로 한글은
음소
단위와 음절 단위가 복합돼 있어 정보처리를 위한 전략 수립이 쉽기 때문이다.20세기 후반 컴퓨터에서 음절모아쓰기가 자동처리되면서 한글기계화와 정보처리는 급속히 신장됐다.이는 우리가 바로 ... ...
인간을 닮아가는 인간의 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지금까지 음성을 인식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했지만, 이것은
음소
나 단어를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기술의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완전한 문장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문법이 사용돼야 한다. 우리가 영어의 문법을 모르는 채 수십만 ... ...
히틀러 벙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기준으로 만들어진 문자로 자음과 모음의 분간이 있는 글자다 한글, 로마자 등이
음소
문자에 속한다현재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자연과정의 원인들이 동일한 방식과 강도로 과거의 모든 지질학적 과정들에도 똑같이 작용했다고 보는 견해로서, 19세기 스코틀랜드 지질학자 라이엘의 '지질학 원리 ... ...
말 더듬는 이유 밝혀졌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표현하는 단계(어휘항목망 단계)다.우리의 뇌는 수천 개의
음소
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음소
란 우리가 수없이 연습한 언어의 소리로, 라마라는 단어를 구성하는 '라'와 '마' 소리를 의미한다. 이외에도 운율 억양 어조 등 언어의 소리패턴도 어휘항목망에 저장돼 있다. 레벨트 박사는 "어휘항목망 ... ...
1. 컴퓨터에서 맥 못추는 '과학 한글' 왜 그럴까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문자가 도형으로 표현될 때 일정한 크기로 쓰여지는 반면 한글은 2개 또는 3개 이상의
음소
들이 일정한 크기의 도형으로 표현된다. 다시말해 한글을 표시할 때는 한 글자당 1바이트로는 모자란다는 얘기다 ... ...
2. 자동통역 시스템 실현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87% 정도의 인식률에 머무르고 있다"고 설명한다.음성인식 시스템은 음성으로부터 단어나
음소
등 음성 패턴의 특징을 추출해 기준 음성 패턴을 만드는 '훈련과정'과 미지의 음성이 입력되면 저장된 기준음성 패턴의 특징과 비교해 가장 유사한 기준 음성 패턴을 찾아내는 '인식과정'으로 나뉜다. ... ...
한글 왜 과학적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조직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를 두고 영국의 언어학자 샘슨(G. Sampson) 교수는 한글이
음소
글자라기보다는 한 차원 더 발달한 "소리바탕 글자"라고까지 격상시켜 불렀다.한글은 또한 표기법이 매우 규칙적이다. 규칙적인 표기법은 한글이 발음 기호에 가까울 정도로 글자와 소리값이 1:1의 관계를 ... ...
수리(數理)로 풀어본 '미의극치' 황금분할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음악일 것이라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기초로 황금비례를 이용, 작곡을 시도했다. 그는
음소
절에 피보나키수열에 따른 대위법적 음계를 써서 장조와 단조의 단아한 화음을 만들어냈고 템포의 조절로 피보나키적 긴장감을 표현했던 것이다. 예술과 과학의 만남지금까지 소개한 것 말고도 우리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