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의정"(으)로 총 11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바다에 자일렌이 유출되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용에 방해가 되는 물질’이다(위험·유해물질의 오염사고 대비, 대응 및 협력에 관한 의정서).국내에서는 1년에 세 번 꼴로 사고가 났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일어난 14건의 사고로 HNS 20만6223L가 유출됐다. 해양자원이나 인간의 건강에 심각한 위해를 끼쳐 절대 해양에 배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 ...
- Part 5. 머글 세계의 뉴트 스캐맨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해요. 2014년 10월 평창에서 열린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이후 발효된 ‘나고야 의정서’는 생물종을 각 나라의 자원으로 인정하고 있어요. 이제는 생물다양성이 바로 국가의 재산이 되는 시대가 된 거예요. 결국 신비한 동물은 학문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금전적인 가치도 가지고 있는 ‘보물’인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감축량으로 인정받는 청정개발체제(CDM)를 활용하는 방안도 있다. 그러나 이 제도는 교토의정서와 함께 2020년에 끝난다. 또 이를 통해 감축할 수 있는 양도 일부로 제한돼 있다.우리나라가 자체적으로 줄이겠다고 한 25.7%(3안과 동일)는 과거 2020년까지 감축하기로 했던 기존의 목표보다 오히려 ...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한다는 사상이 박혀있었다”고 말했다. ‘구수략’이라는 산서를 집필한 최석정은 영의정을 8번이나 한 대표 문인이다.당쟁에서 이기기 위해 산학을 공부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시헌력’ 시행이다. 시헌력은 명나라가 멸망하고 청나라가 건국되면서 새로 만들어진 ... ...
- [Hot Issue] 오존층 파괴 신종 범인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5호
- VSLS)로, 지표 근처의 오존층을 주로 파괴한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양이 적어 몬트리올 의정서 협약 당시 규제물질에 포함되지 않았는데, 산업 공정에서 쓰는 VSLS 양이 최근 급격히 늘었다 ...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평창에서 열린 제12회 생물다양성당사국총회부터는 이런 문제를 막을 수 있는 ‘나고야의정서’가 힘을 발휘하게 됐다. 이제 생물자원을 갖고 있는 나라도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감자가 다양한 색깔과 모양을 띠는 이유는 유전자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유전자를 가진 생물 종은 환경 ...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들어간 이후 지금까지 현지 과학자들과 함께 연구하며 돈독한 신뢰를 쌓고 있다. 나고야 의정서가 채택되기 한참 전부터 베트남과 이익을 공유하고 있는 데다, 베트남의 자생식물도감도 만들고, 현지 연구자들의 연구역량도 키워주고 있다. 그는 "단순히 돈이 오고가는 거래만 이익공유가 아니다 ... ...
- 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한 일화도 실려 있다.❷ 최석정(1646~1715)오일러보다 60년 앞선 라틴 마방진!조선 숙종 때 영의정을 지낸 수학자이다. 저서인 수학책 ‘구수략’은 총 4편으로 이뤄져 있는데, 측량법, 수열과 급수, 연립일차방정식, 마방진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놀라운 사실은 이 책에 ‘9차 직교라틴방진’을 다루고 ... ...
- PART 3. 지구 기후의 마지막 퍼즐 남극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사람들은 지구 전체에서 일어나는 오존층 파괴를 실감하게 됐고, 결국 1989년 몬트리올의정서를 맺으며 CFC 감축에 합의했다. 그 결과 감축 이래 가장 두터운 오존층이 2012년 관측됐다. CFC 감축이 없었다면 우리는 지금쯤 피부암 등을 일으키는 자외선 폭격을 맞고 있을지 모른다.혹한이나 폭염의 단골 ... ...
- GMO, 무조건 나쁜 것이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GMO를 떠올리면 먼저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중략…) 그러나 생물안전의정서(The Caragena Protocol on Biosafety)라는 국제 협약에 의해 그 안전성이 검증된 GMO만 유통되도록 규제하고 있으므로 안심할 수 있다. 현재 이 GMO 사업은 거대 다국적 기업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런 기업들은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