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공위성"(으)로 총 1,4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내비게이션, GPS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통해 길을 알 수 있다면, 지금 내가 어디 있는지 알 수 있게 하는 건 GPS입니다. GPS는 인공위성을 통해 나의 위치 좌표를 알아내요. GPS로 알아낸 나의 위치 정보를 내비게이션에 보내면, 내비게이션은 내 위치와 전자 지도를 바탕으로 가장 최적의 길을 찾아 운전자에게 목적지까지 알맞은 경로를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9월 9일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텀블벅’에 재미있는 펀딩이 하나 올라왔습니다. 제목은 ‘상공 30km 목표 아마추어 고체 추진 관측 로켓 개발’. 아마추어 로켓 개발을 위한 자금을 모으는 펀딩이었죠. 이 펀딩을 기획한 단체 ‘Overpace(오버페이스)’는 자신들을 “우주와 로켓을 사랑하는 고등학생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태양동기궤도에서 인공위성은 특정 지역 상공을 늘 같은 시각에 지난다. 인공위성 관측과 시계열 데이터 확보에 강점이 있다. 한편 누리호 1~3호가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을 통해 이뤄진 것과 달리, 앞으로 누리호 4~6호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계종합기업으로 제작을 담당한다. ... ...
- [가상 인터뷰] 나무로 만든 위성이 우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로켓 발사 횟수가 늘어나면서 우주 쓰레기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수명을 다한 인공위성이나 로켓에서 분리된 각종 부품이 서로 충돌해 수많은 잔해를 만들고, 그 잔해들이 우주를 떠돌고 있거든. 타카오 도이 교수팀은 “우주 쓰레기가 지구 환경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어. ...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일론 머스크의 위성 프로젝트인 ‘스타링크’ 때문입니다. 인공위성이 급증해 신호가 증폭되고 있기 때문이라는데요, 외계 문명이 인류를 발견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공룡이 멸종했을 당시,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해 규모 11 정도의 지진이 발생했어요. 그로 인해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GNSS라는 이름이 붙은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GNSS의 원리는 이렇다. 다수의 인공위성을 쏘아 올린 뒤 지구 어디에서나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신호를 동시에 받아 위성에서 수신기까지 전파 도달 시간을 잰다. 이를 토대로 3차원 위치 좌푯값을 알아낸다. 인류는 GNSS라는 기술이 나오기 훨씬 전부터 ... ...
- (광고) 과학으로 우리의 삶을 바꾼 사람들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받은 이휘소 박사, 그리고 우주 분야의 불모지였던 우리나라에서 쏘아올린 최초의 인공위성 ‘우리별’의 아버지인 최순달 교수까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는 우리의 삶을 바꾸는 데 기여한 과학기술유공자 32명을 2017년 12월에 선정했어요. 이후 해마다 새로운 과학기술유공자들이 발표돼 ... ...
- [누리호] 최초의 실전 비행 성공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누리호 발사 타임라인누리호는 총 8기의 인공위성을 태우고 5월 25일 오후 6시 24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 누리호는 목표 고도 550km에서 목표 속도인 ... 실전 비행 성공Part1. 누리호 화보Part2. 누리호 발사 3일의 현장Part3. [인포그래픽] 누리호가 우주로 실어보낸 인공위성 ...
- [누리호] 누리호 발사, 3일간의 현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5월 24일 수요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입구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는 이른 아침부터 전국에서 100명이 넘는 기자들이 모여 발 디딜 틈이 없었 ... 플래카드를 걸고자 합니다. 발사 성공은 시작일 뿐, 매일매일이 도전이고, 그 끝엔 인공위성이 여는 또 다른 세계가 기다리고 있으니까요 ... ...
- [Space Math] 지구 궤도 떠도는 시한폭탄! 우주 쓰레기 처리 기업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로켓 본체나 로켓에서 분리된 페어링과 부스터, 부서진 우주선의 파편,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은 별 조치를 하지 않으면 한동안 궤도를 아무 의미 없이 떠돈다. 안 그래도 붐비게 될 우주 궤도에 이런 비행 물체가 날아다니면 충돌 가능성만 키우게 된다. 그래서 우주 쓰레기 문제는 그 자체가 시장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