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술의 신 2. 상대 팀보다 +1 대형 짜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많은 선수를 배치할 것인지 표시한다. 골키퍼를 빼고 수비수가 몇 명인지 먼저 쓰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4-4-2라고 하면 수비수 4명, 미드필더 4명, 공격수 2명을 배치하는 대형이다. 대형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상대 공격을 막고 공을 빼앗아 골을 넣는 것이다. 주위의 동료와 패스를 주고받으며 ... ...
- 수학으로 설계된 롤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여기서는 각 캐릭터의 거리를 ‘칸 수’로 측정하자. 사실 많은 게임에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유클리드 거리, 즉 두 점을 잇는 선분의 길이로 구하기보다는 두 점 사이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의 합으로 거리를 구한다. 이를 ‘맨해튼 거리’라고 한다. 그 이유는 구하고자 하는 두 ... ...
- [전지적 독자시점] “아, 초음속 비행기 진짜 재밌는데”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보여요! 지난 2월호에서 주요 기사의 선호도(점수)와 일반 기사 선호도(순위)를 조사했습니다특집·기획 선호도[특집] 2024 로봇, 지능의 몸이 되다 (4.4점)[기획] ‘혹등언어’로 외계 생명과 대화를 꿈꾸다 (4.3점) *편집부 TALK다양한 주제의 기사를 전체적으로 좋아해 ... ...
- [넥스트 AI] AI 애널리스트의 입사 조건은?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기업공개(IPO). 개인이나 소수 주주로 구성된 기업이 관련 법률의 절차에 따라 그 주식을 일반 대중에게 분산해 매각하고,기업의 재무 내용을 공시하는 일련의 과정 ... ...
- [컬쳐] 태초에 그 논문이 있었다 막스플랑크의 양자론을 이해하는 법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이 값을 큐비트라고 부릅니다. 2024년 1월 정부가 발표한 20큐비트의 양자컴퓨터는 일반 컴퓨터가 100만 회에 걸쳐 처리하는 계산을 한 번에 처리합니다.때문에 국가의 연구기관부터 IBM, 구글과 같은 글로벌 IT기업과 스타트업까지 전 세계 양자 과학자들은 양자컴퓨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 ...
- [만화뉴스] 햄버거와 아이스크림, 야채보다 더 식욕 당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런 통념을z 깨는 연구를 2023년 11월 발표했습니다. 성인 224명은 아보카도, 새우 같은 일반 식품과 머핀, 아이스크림 같은 가공식품 사진을 본 뒤 설문 조사에 응했어요. 연구팀은 참가자에게 맛을 상상하게 한 뒤 음식에 대한 선호도와 먹고 싶은 욕구, 단맛, 짠맛 등에 대해 답하도록 했죠. 연구 ... ...
- 업사이클드푸드 왜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식품 부산물에도 영양의 가치가! 식품 부산물에는 일반 식품만큼 풍부한 영양 성분이 있습니다. 리하베스트는 “보리박으로 만든 가루는 밀가루보다 식이섬유가 20배, 단백질이 2.4배 많다”고 밝혔어요. 우리 몸의 뼈와 근육, 호르몬의 주성분인 단백질이 충분히 ... ...
- [질문하면 답해ZOOM] 핫팩 속에는 무엇이 들어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산화되면 녹슨 철이 돼요. 철이 산화되는 과정에서 철 1g당 1.69kcal의 열이 발생합니다. 일반적인 철의 산화는 아주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열이 발생하는 것을 느끼기 어렵지만, 손난로 속에 든 철은 가루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적이 넓어 조금만 흔들어도 빨리 산화되어요. 그 과정에서 ... ...
- 소수가 나오는 범위에 집중한 가우스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가정한 다음 소수 동전을 N번 던졌을 때 확률을 구했다. 그 결과 적분 식으로 이뤄진 일반화된 함수를 만들었다. 소수의 개수가 로그함수의 그래프와 비슷한 형태로 계단 모양을 그리며 커진다는 것을 알아내고, 어떤 수 이하의 소수 개수를 어림잡아 구하는 공식 Li(x)를 만든 것이다. 땅속에 묻힌 ...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소수를 ‘고립 소수’라고 한다. 쌍둥이 소수 추측 실마리 잡다! 쌍둥이 소수 추측은 일반화된 뒤에도 100년 넘게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 그러던 2013년 5월, 이탕 장 교수가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장 교수는 두 소수의 간격이 7000만 이하인 소수 쌍이 무한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