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장
d라이브러리
"
작은창자
"(으)로 총 47건 검색되었습니다.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먹으면 일부 바이러스 단백질이 소화되지 않고
작은창자
까지 내려온다. 이 단백질은
작은창자
의 점막에 닿는데 그곳에서 면역 반응이 일어난다.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항체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것이다.“먹는 백신은 1990년대 초반 미국 과학자 찰스 안첸이 아프리카에서 백신 바나나를 연구하면서 ... ...
몸속에 숨은 아코디언 가로막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고깃집에서 갈매기살이나 안창살이 어느 부위인지를 모르고 먹는 경우가 많다. 갈매기살과 안창살은 기름기가 적고 질기지 않아 구워먹기 적당하다. 갈매기살은 돼지의 가로막이고, 안창살은 소의 가로막이다. 사람의 흉부 X선 사진을 보면 가로막이 마치 갈매기처럼 보인다. 가로막은 근육으로 이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저온생물학에서는 저온보존 기술로 생명활동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킨다. 저온보존으로 겨냥하는 대표적인 미래기술은 인공동면과 냉동보존이다.겨울잠 자며 우주여행한다먼저 인공동면의 경우 사람도 일부 동물처럼 동면을 즐길 가능성이 없지 않다. 곰과 다람쥐, 햄스터, 박쥐 등은 외부 온도에 ... ...
우주 연못에서 뛰쳐나온 올챙이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겨우내 땅속에 잠들어 있던 개구리가 따스한 봄기운에 놀라 뛰쳐나온다는 경칩이 한참 지났다. 겨울잠에서 깨어난 개구리는 종류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3월 하순부터 물웅덩이에 알을 낳기 시작한다. 그후 알을 깨고 올챙이가 되는데는 대개 보름 정도가 걸린다. 때문에 이르면 4월 중순부터는 연못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가장 최근 인간과 갈라선 침팬지도 고기 섭취 비율이 4%에 불과하다. 또한 인간은
작은창자
가 다른 어떤 유인원보다 길다. 분해된 단백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작은 창자가 진화한 것이다. ‘인류학의 보고’로 불리는 아프리카 보츠와나의 쿵족 사회는 40%의 시간을 사냥과 사냥 얘기로 ... ...
천혜의 생태계 민통선 희귀식물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동아 사이언스와 동아일보 문화센터가 주최하는 중∙고교 과학교사를 위한‘ 자연생태계 학습탐사’가 SK의 후원으로 4년만에 재개됐다. 과학동아는 지난 7월30일부터 8월3일까지 4박5일 동안 16명의 과학교사와 함께강원도 민통선지역을 탐사했다.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아 생태계의 보고로남아있 ... ...
월척도 과학으로 낚는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생명과의 씨름. 무더위를 잊는 방법 중에서 낚시를 백미로 꼽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그러나 낚시를 감(感)과 경험으로만 한다고 생각하면 오산. 월척을 건지려면 최소한 물고기의 생태를 잘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쉽고 재미있는 낚시의 과학을 붕어낚시를 통해 알아보자.해마다 여름이 되면 댐이 ... ...
생물계의 공생전략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세상에 필요 없는 생물이란 없다는 말이 맞는가 보다. 눈에도 보이지 않는 작은 세균들이 자신의 생존을 도모하기 위해 펼치는 전략인 공생만 봐도 그렇다. 콩과식물에 비료를 제공하는 뿌리혹박테리아를 비롯해 서로 도우며 살고있는 생물들의 다살이 세계에서 삶의 지혜를 얻어보자.생물계는 보 ... ...
단백질 구조 밝힌 생화학의 선구자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생명체는 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반응해 적응하고, 광합성을 하거나 음식물을 섭취해 에너지를 얻고, 자손을 퍼뜨려 종족을 유지한다. 과학자들은 오랜 세월 동안 생명체가 생명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은 생명체를 이루고 있는 물질이 생명 없는 무기물이 아닌 신비한 힘('생기'라고도 함)을 가진 ... ...
사랑을 충동질하는 뇌분비물질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사람의 성기관 중에서 가장 큰 것은 무엇일까. 이 질문을 받은 사람들은 대개 배꼽 아래를 생각하기 십상이다. 발기한 음경을 연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답은 페니스가 아니라 뇌이다.‘3부 뇌’가설뇌의 구조와 기능은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지만 다양한 설명이 시도되었다. 1973년 미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