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머지
잔류물
d라이브러리
"
잔여
"(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에너지의 이유있는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일과 에너지는 서로 순환한다. 이때 에너지의 양은 보존되지만 그 형태는 끊임없이 변한다. 이러한 에너지의 변신은 여러 가지 자연현상으로 나타난다. Q1다음 제 ... 질량 결손과 핵융합 반응으로 생성되는 에너지양을 구하고 현재 광도를 고려해 태양의
잔여
수명을 계산합니다.예시답안 ... ...
초음파로 지문 감식하는 휴대용 기기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물질이 빽빽한 정도에 따라 색을 다르게 보여주는데, 물체 표면과 손가락이 닿은 뒤
잔여
물이 남은 곳의 차이를 영상으로 나타낸다. 단층촬영을 하듯 지문의 단면을 찍어 3차원으로 재구성하는 셈이다.테이프로 지문을 찍어낼 땐 표면에 있는 먼지까지 묻어나와 지문이 오염될 수 있지만, 휴대용 ... ...
가을들판 三色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있었다.스페인 바르셀로나대 로자 라무엘라-라벤토스 교수팀은 암포라 6개에 남아있는
잔여
물을 채취해 그 성분을 분석했다. 진짜 와인이라면 포도의 주성분인 타타르산이 검출돼야 한다. 분석 결과 모두 타타르산이 확인됐다.다음은 적포도주 색소 성분인 말비딘-3-글루코시드의 대사산물인 ... ...
배아복제 연구 시작해도 되나?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탄원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이번 결정에 대해 학계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잔여
난자는 곧 질이 떨어지는 난자라는 얘긴데, 이런 난자를 사용하면 연구의 질도 함께 떨어질 것이라는 얘기다.예를 들어 난자의 수명을 보자. 난자는 한번 몸 밖으로 나오면 2~3일 뒤에 죽는다. 그런데 ... ...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얼굴을 보게 되면 그 얼굴이 더욱 여성적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일종의
잔여
효과(aftereffect)가 생긴다는 말이다. 홍일점이 더 예뻐 보이고 청일점이 더 멋져 보일 수 있는 근거가 여기에 있다.어쩌면 군대에서 여자는 모두 예뻐 보이고 여학교의 총각 선생님이 유난히 멋져 보이는 ... ...
지문으로 흡연자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3일 영국의 ‘뉴사이언티스트’는 영국 킹스칼리지의 수 지켈 교수가 지문에 남아있는
잔여
물을 이용해 범인의 흡연 여부를 알아냈다고 보도했다.지켈 교수는 “지문에서 니코틴을 흡입할 때 생기는 코티닌이란 물질을 발견하면 범인이 흡연자라는 사실을 알게 돼 용의자 찾기가 쉬워진다”고 ... ...
4. 공포는 바로 이 맛이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풀리는 이유다. 공포마니아들은 이런 기분을 자주 만끽하고 싶어하는 게 아닐까.공포는
잔여
긴장뿐 아니라 심지어 고통도 감소시킨다. 이 역시 편도체가 관장하는 무의식적 공포반응이다. 영화를 보다 공포가 최고조에 달하는 장면에서는 옆자리 친구가 꼬집어도 아픈 줄 모른다. 사람뿐 아니라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유전자를 갖고 있는 암세포는 인체의 면역시스템을 유발하게 되고, 이 면역반응으로
잔여
미세암세포들이 파괴돼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이렇듯 사이토카인 유전자치료법은 체외에서 암세포를 조작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개별환자로부터 각각의 암세포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보통의 ... ...
03 암세포 침투로 막는 한방 항암물질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이 주축이다. 앤지옴은 다만 이들의 1차치료가 끝난 후
잔여
암의 재발 방지와 전이를 막기 위한 보조적 수단일 뿐이다. 한방 자체만으로 암세포를 정복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 ...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줬을 때 각각의
잔여
효과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점의 운동과 소리가 같은 방향일 때
잔여
효과가 더 강했다(그림). 감기택 교수는 “1980년대 이후 활발해진 시각과 청각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로봇이 인간과 같은 인지기능을 갖도록 하는데 응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감교수에 따르면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