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부
잠수원
다이버
diver
d라이브러리
"
잠수부
"(으)로 총 3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의 왕자 로봇 물고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일부분 묻히도록 설계된다. 이 때문에 음파탐지기로 탐지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
잠수부
가 직접 찾거나 돌고래 등을 훈련시켜 탐지하기도 하는데 이 방법들은 위험성이 높고 신속한 작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바닷가재 로봇은 이런 문제를 해결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바닷가재 로봇은 로봇 ... ...
서양 200년 앞선 세계 최고의 배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것이 아니라
잠수부
들이 일일이 나무 조각 하나하나를 들고 올라오는 방식이었다.
잠수부
들이 갖고 올 수 있도록 배 전체를 4등분으로 자르기도 했다. 인양에는 4년이 걸렸다.바다 밑에 흩어진 조각들을 다시 이어 붙이는 복원 작업은 1994년부터 시작됐다. 그 전에 바다에서 가져온 720편의 배 ... ...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들어갔다. 잠수정 창밖으로 아탈랑테호의 스크루가 천천히 돌아가는 것이 보였다.
잠수부
들이 모선과 연결돼 있던 줄을 풀자 잠수정은 서서히 가라앉기 시작했다.계기판의 수온은 27℃, 수심은 1-2초마다 1m씩 깊어졌다. 계기판의 숫자가 커질수록 창밖으로 보이는 물 색깔은 점차 어두워졌다. 수심 50- ... ...
자크루즈리의 해양건축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않는 세계’를 본 것이 계기였다. 꿈많던 어린 시절 바다속 탐험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잠수부
가 코발트색 깊은 바다 밑에서 수면을 향해 조심스럽게 올라오는 명장면을 회상할 때마다 아직도 설레인다.왜 바다에 주목하는가?내게 바다는 아주 매력적인 여인과도 같다(그는 그렇게 말한 뒤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달걀 세우기컬럼버스의 달걀이 아닌 진짜 달걀을 세워보자.왜그럴까?달걀의 표면을 돋보기로 관찰하면 올록볼록 튀어나온 점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다걀의 중심 ... 한다. 만약 물이 덜 들어가면 병 안의 비어있는 부분의 공기가 압축돼 수면이 올라갈 뿐
잠수부
는 꼼짝도 하지 않는다 ... ...
선과 악을 넘나드는 두 얼굴의 산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산소'.호흡에 꼭 필요한 산소가 노화의 원인으로 지목된 이유는 무엇일까.등반가나
잠수부
는 고압의 산소가 담긴 무거운 금속통을 메고 다닌다. 여기서 산소통은 호흡을 위한 생명줄 역할을 한다. 일산화탄소가 포함된 연탄가스에 중독됐을 때 깨끗한 산소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제로 쓰인다. 눈에 ... ...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밑으로 내려가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난다. 반대로 소유즈 승무원이 아폴로로 건너가면
잠수부
가 물위로 떠올라오는 것과 같아, 잘못하면 혈액 속에 녹아 있던 질소가 거품으로 변해 잠수병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도킹장치에는 서로의 기압에 적응할 수 있는 완충장치가 필요했다. 아폴로에서 ... ...
1. 지구질량 318배, 수소·헬륨의 가스행성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약 10기압 고도에서는 물(${H}_{2}$O) 구름이 존재한다. 이곳은 영상 약20℃의 온도로서,
잠수부
가 편히 활동하는 바다밑과 흡사하다 하겠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어떤 공상과학소설에서는 목성의 암모니아 구름층 밑에 상어와 같은 어류들이 살고 있는 것으로 묘사하기도 한다(그림2).암모니아 구름층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공간에 떠돌고 있는 진짜 허블우주망원경과 같은 크기의 것이다.바로 이 수조 속에서
잠수부
들의 도움을 받아가며 둥그런 우주복 차림으로, 바다속의 로보캅처럼 떠다니는 사람은 캐시 손튼(Kathy Thornton)과 톰 에이커스(Tom Akers)이다. 수조의 가장자리에서 배회하는 사람은 스토리 무스그레이브(Story ... ...
신안 해저유물선 인양, 그후 8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8,90%의 정확도를 가질 만큼 거의 완벽했다고 놀라워 한다. 이는 인양에 참여한
잠수부
들의 사명감이 대단했음을 보여준다.5t짜리 크레인이 용골을 들어 올리면서 4년여에 걸친 인양작업은 마감됐다. 이로써 신안선은 14세기(1310~1350년 사이에 침몰된 것으로 추정)에 신안 앞바다에 가라앉은 후 7세기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