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달
송신
보냄
전송사진
사진
전송순위
순위
d라이브러리
"
전송
"(으)로 총 1,167건 검색되었습니다.
[Data Math] 여성 건강 책임지는 개발자 '해피문데이 부혜은 CTO'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만들기로 했어요. 웹사이트보다 앱을 이용하는 게 더 편리하니까요. 또 앱에서는 알림
전송
등 할 수 있는 게 많지요. 같은 해 9월, 시범적으로 몇 명만 초대해서 테스트를 진행하는 클로즈드 베타 서비스를 열었어요. 참여자들에게 ‘이런 기능이 필요하다’, ‘이런 부분이 추가되면 좋겠다’ 등 ... ...
[기획] 일상에서 찍히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을 따라가다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정보를 받은 라우터는 와이파이 등 통신망을 통해 목적지인 스마트폰으로 파일을
전송
한다. 이 과정을 거친 데이터는 스마트폰에서 영상으로 실시간 재생된다. 데이터 센터는 다른 분야에서도 쓰인다. 최근 주목받는 분야 중 하나는 인공지능(AI) 기술이다. 수많은 데이터를 모아 AI를 가르칠 때 ... ...
[이달의 뉴스] 공기 중 보이지 않는 통로로 강력한 레이저
전송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종이와 피부를 태울만큼 강력한 레이저가 공기 중에 보이지 않는 통로를 만들어 45m 뻗어 나가는 데 성공했다. 이는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빛을 장거리 ... 하워드 밀치버그 메릴랜드대 물리학과 교수는 “새로운 레이저를 이용해 1km 거리까지
전송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고 말했다 ... ...
[가상 인터뷰] 방사선으로 쓰러졌던 주노, 구사일생으로 회복!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중이었어. 이때 주노에 탑재된 컴퓨터가 목성을 조사한 과학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
하고 있었지. 그런데 갑자기 주노에서 자료를 ‘다운로드’하는 통신 연결인 ‘다운링크’가 끊어진 거야. 과학자들은 주노가 목성을 가까이 통과하던 중, 지구의 방사선보다 약 500만 배 강력한 목성의 방사선이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차 한 잔을 데우기 위해 전기포트가 사용하는 전기의 양과 1MB 메일 약 1500개를
전송
하고 저장하는 데 드는 전기의 양이 같다고 분석했다. 오히려 개인의 측면에서는 디지털 기기를 새로 사지 않고 오랫동안 쓰는 편이 탄소발자국 절감에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기기를 만들 때 훨씬 많은 에너지가 ... ...
[특집] 양자역학적 순간이동...양자가 열어준 토끼굴 속으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 양자
전송
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인포그래픽]. 양자
전송
과 양자암호통신Part3. 양자
전송
으로 순간이동을 할 순 없더라도Part4.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뭔지, 그럼에도 순간이동이 어려운 이유가 뭔지 궁금한 독자들을 위해 다음 기사 ‘양자
전송
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를 준비했다. 순간이동을 현실에 구현할 미래는 아직 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상상에는 제약이 없다. 이번 특집 기사를 읽으며 순간이동이 가능해진 세상을 머릿속에 ... ...
[가상 인터뷰]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솔라리스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기술을 검증하기 위해 2022년 9월 독일에서 2kW(킬로와트)의 전기를 무선으로 30m 거리만큼
전송
하는 데 성공했어요. 솔라리스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죠. 또, 과거에는 인공위성을 우주 공간에 올려놓는 일에 비용이 많이 들었지만 최근 스페이스X의 팰컨 로켓 등 재활용 가능한 로켓 등이 상용화되면서 ...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특히 레이저는 직진성이 매우 뛰어난 특성을 가진다. 직진성이 뛰어나다는 것은 정보
전송
에너지가 잘 흩어지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지만, 경로상 어떤 장애물에 의해 물리적 경로 변경이 일어나면 앞서 말한 통신 장애의 불편함을 그대로 겪게 되는 단점도 있다. 우주 공간에서는 군집 위성들 ... ...
[특집] 순간이동이 당연해진 세상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반’만 성공한다. 배터리 충전을 깜빡 잊는 바람에 순간이동 장치가 머리를
전송
한 다음 방전돼버린 것이다. 머리만 남은 그는 결국 박물관에 전시되고 만다. '워세권’의 탄생➡ 남대식 인하대 아태물류학부 교수“부동산 문제가 사라지진 않을 겁니다. 지금 역세권처럼 워프센터 근처에 사람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