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밀"(으)로 총 2,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세라믹 코팅하면 해결할 수 있다는 거예요. 그는 “제 발명품을 조금만 발전시키면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일반 청소년 교육용 망원경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라고 말했습니다. 제 발명품을 수도꼭지에 달면 하루 물 사용량을 집에서도 알 수 있어요!- 한서진 경산과학고 2학년 - 한서진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최종 100만 명의 유전체 등을 분석하는 것이 목표다. 이렇게 정밀의학이 실현되면 미래 고령화 사회가 부담할 의료 비용도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치료에서 예방 의학으로 가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이 HGP가 열어젖힌 문이다. 한 명의 유전체로는 부족하다. 많은 유전체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반면 자기장 구동 캡슐 내시경은 자기장 구동을 통해 능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진단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MBR Lab에서는 자기장 구동 캡슐 내시경을 발전시켜 장내 미생물 채취용 캡슐도 개발하고 있다. 무릎 연골용 줄기세포 운반 기술은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로봇으로 ... ...
- [SF] 속도의 맛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자기 차를 개조한다. 자유롭게 차체를 늘였다가 줄였다가, 붙였다가 떼었다가 하면서 정밀하게 깎고 다듬는다. 커다랗고 무거운 차량 부품을 이리저리 돌려보면서 여기저기 끼워 맞춰본다. 당연히 현실세계에서 차량을 개조하는 것보다 훨씬 더 쉽고 재미있다. 그만큼 ‘상상력’이 중요하다. ...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작성 2018년 여름 암 전이 연구로 박사과정을 밟던 문진우 학생은 갑자기 쓰러졌습니다. 정밀검사 결과 우뇌에서 직경 1cm의 혈관종을 발견했지요. 바로 수술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의사의 진단을 들을 정도로 상황이 심각했습니다. 다행히 8시간에 걸친 수술 후 진우 학생은 빠르게 회복했습니다 ...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제품을 한 번에 생산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기공 등의 결함을 회복시키는 열기계적 처리, 정밀도 향상을 위한 절삭 가공 등의 후속 공정이 뒤따릅니다. 적층성형 과정에서 곧바로 소재의 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원천 공정 기술을 개발하면, 적층성형만으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제품을 제작해 ... ...
-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때 해당 부위를 잘 볼 수 있게 도와주는 의약품이다.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조영제는 정밀 촬영이 가능할뿐 아니라, 사용 후 인체에서 완전히 배출돼 안전성을 더했다. 세포 수리하는 나노 로봇 개발하려면나노의학 연구단은 자기장을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는 도구뿐만 아니라 뉴런이나 세포에 ... ...
- [논문탐독] 생명현상의 실타래에서 찾아낸 맞춤형 암 치료의 실마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확인했습니다. 조기발병위암의 유전적 원인을 정밀하게 규명함으로써 향후 위암 환자의 정밀한 진단 및 항암 치료법 개선에 기여한 연구라고 볼 수 있습니다.과학과 의학이 발전하고, 환자별 특성에 따른 최적의 치료가 요구되면서 유전체, 전사체, 단백질체를 함께 활용한 다중체학과 임상 의학을 ... ...
- [최신 이슈] 양자컴퓨터 만들 새로운 플랫폼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구현하기도 했다. 단일 원자 전자스핀 플랫폼은 큐비트 간 정보 교환을 원자 단위에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별 큐비트의 크기가 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이하인 가장 작은 크기의 큐비트를 이용해 양자집적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큐비트 플랫폼과 ... ...
- [과동키즈] 우린, 모두, 과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복잡한 수식을 전개하고 이해하는 것보다 광학계(미러, 렌즈)를 설계하고 더 정밀하게 정렬해서 목표했던 바를 달성할 때 더 큰 보람을 느꼈으니까요. 현재는 제가 지금까지 익힌 광학, 전자빔, 엑스선·감마선, 플라즈마 기반 기술과 지식을 활용해 공학적 적성을 더욱 살릴 수 있는 산업계에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