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개
정절
지조
동조
d라이브러리
"
정조
"(으)로 총 48건 검색되었습니다.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반포하는 역서에서 조선의 기준 위도가 됐고, 조선에서도 이를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정조
때는 중국 황제가 하는 방식을 모방해 조선팔도의 관찰사가 있는 도시의 위도와 경도를 계산해 우리나라 역서에 쓰기도 했다. 그러나 이때 구한 수치는 그 지역에서 직접 측정한 값이 아니라 지도상의 거리를 ... ...
종기가 사람 잡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등에 앓던 종기는 길이가 한 자(30.3cm) 가량 되고, 폭이 5~6치(15~18cm) 정도로 매우 컸다.
정조
의 종기도 먹을 갈 때 쓸 물을 담는 연적만큼이나 컸다. 환경이 비위생적이고 보건 개념이 미흡한 시절이다 보니 종기가 악화돼 생명을 해칠 수 있었던 것이다.피부는 오장육부의 거울한의학에서는 피부를 ... ...
남대문이 활짝 열렸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함께 숭례문(일명 남대문)이 활짝 열린다. 성문을 지키는 군사들이 나와 죽 늘어서고
정조
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가 있는 경기도 화성에 다녀오는 어가행렬이 이어진다.과거를 보러가는 선비, 시장에 가는 보부상과 지게꾼이 지나가고 ‘조선시대 주민등록증’ 호패를 검사하는 모습도 보인다 ... ...
백성을 위해 과학을 사용한
정조
와 정약용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합니다. 물론 공사 중에 백성들이 다치는 일도 거의 없었지요.과학을 백성을 위해 사용한
정조
와 정약용. 과학을 잘못 사용해 다수의 사람을 죽이는 핵폭탄과 세균 무기를 만드는 후세의 과학자들이 꼭 본받아야 할 훌륭한 과학자임에 틀림없습니다 ...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의학서부터 연구하기 시작했다.궁중비법 실험도 직접해봐‘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
정조
대의 예술과 과학’ ‘신주무원록’ ‘살인의 진화심리학’ 등 그동안 김호 박사가 낸 논문과 책을 살펴보면, 역사학을 바탕으로 과학과 의학 분야를 수시로 넘나들며 연구에 몰두해 왔음을 알 수 있다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21세기에는 한국을 기술 강대국으로 만드는 것이다. 한국은 15세기 세종 때, 18세기 영·
정조
때에 이어 3백년 만에 다시 민족 중흥기를 맞이했다고 보는 그는 “지금이야말로 우리민족의 잠재된 능력과 가능성을 발휘할 최적의 시기”라고 강조한다.하지만 이공계 기피 현상이 심각해 그는 정말 ... ...
아이디어 만발한 동식물의 짝짓기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틀어막는 마개 역할을 한다. 중세시대 바람을 피지 못하게 하기 위해 인간이 만든
정조
대라는 기구와 다를 게 없다.지중해에 사는 벼룩의 일종은 암컷의 정절을 강요하는 수컷의 이기적이고 공격적인 씨 퍼뜨리기 작전의 전형을 보여준다. 교미하는 수컷은 딴 수컷이 집어넣은 정자 덩어리를 ... ...
2. 대선 공약 주요 항목으로 떠오른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인식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이에 비해 민주당의 분석은 약간 달랐다. 김효석 제2
정조
위원장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투자액은 예산의 4.7%로 선진국에 비해 적지 않은데도 성과가 적은 것은 예산 분배방식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며 효율적 예산관리를 위한 혁신적 시스템 도입을 주장했다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유물을 건져 올리는 식으로 진행됐다. 해군 다이버들은 평택함에서 장비를 모두 차린 뒤
정조
시간을 이용해 2인 1조의 두개조씩 보트를 타고 현장에 접근해 인양 작업을 했다. 이들은 사각형의 그물망을 들고 들어가 거기에 청자를 담은 뒤 들어 올렸다. 한 번 현장에서 인양작업을 벌이면 한조당 ... ...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에 그린 가옥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강한 집이 되는 장점이 있다.한편 세한도가 그려진 19세기 전반의 조선 그림은 영·
정조
대의 이른바 ‘진경산수’ 시대를 거치면서 우리나라의 자연을 직접 답사해 그 실제풍경을 그리는 화풍이 정착했다. 또한 세한도가 그려진 시기는 우리 풍속화의 대가인 김홍도가 활동했던 시기와도 겹친다.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