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리개"(으)로 총 83건 검색되었습니다.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담는 3D 디카 눈의 구조를 설명할 때 흔히 카메라에 비유한다. 수정체는 렌즈에, 홍채는 조리개에, 망막은 CCD(예전에는 필름)에 해당한다. 그러나 사람이 눈을 통해 얻는 영상은 3차원 정보를 담고 있어 2차원 정보만 줄 수 있는 카메라의 사진과는 ‘차원’이 다르다. 뇌는 양쪽 눈에서 들어온 2차원 ... ...
- 멤스 우주망원경과학동아 l2009년 05호
- 위키백과 (나) 번개를 사진에 담으려면 광각렌즈(시야가 넓은 렌즈)를 하늘로 향하고 조리개를 열어둔 채 번개가 ‘걸려들기’를 기다려야 한다. 렌즈 시야가 넓을수록 번개가 걸려들 확률은 높다. 하지만 그만큼 번개가 전체 화면에서 작게 찍히기 때문에 번개를 자세히 담기는 어렵다. “만약 ...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과학동아 l2009년 03호
- 요란하다.번개를 사진에 담으려면 광각렌즈(시야가 넓은 렌즈)를 하늘로 향하고 조리개를 열어둔 채 번개가 ‘걸려들기’를 기다려야 한다. 렌즈 시야가 넓을수록 번개가 걸려들 확률은 높다. 하지만 그만큼 번개가 전체 화면에서 작게 찍히기 때문에 번개를 자세히 담기는 어렵다.“만약 번개가 ... ...
- 하나, 둘, 셋, 찰칵~! 내 손으로 만든 사진기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8호
- 제작한 사진기로 거의 모든 부품을 국산으로 만들었으며 수출도 했다. G.F 81 링 사진기조리개, 셔터 속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초정밀 금반지 사진기로 20대만 생산되었다. 지름 25㎜의 원형 필름 6장을 촬영할 수 있다. 틱카 워치 페이스영국에서 1912년에 만들어진 시계모양의 위장 사진기. 니켈로 ...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과학동아 l2008년 12호
- 합니다.” 그는 요즘 강의할 때 아예 카메라를 가져가 열어서 보여준다. 셔터시간도, 조리개에 따라 심도가 달라지는 이유도, 역광이 문제가 되는 이유도 카메라로 설명하면 학생들이 쉽게 이해한단다. 그가 지난해 책임지고 집필한 교재인 ‘기초전자물리학실험’에는 실험 준비물로 ... ...
- 밤하늘에 꼭꼭 감춰진 보물, ‘딥스카이’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촬영 시 카메라를 회전시키면 안 된다. 회전하게 되면 비네팅 부분이 달라지기 때문이다.조리개를 조여도 밝은 별 주변에 파란색이 나타난다면 포토샵에서 원본 사진을 복사한 뒤 ‘Gaussian blur’ 값을 1정도로 약 20여회 준 뒤 ‘Layer’모드를 Color로 빼주면 된다. 그러나 너무 많이 ‘Gaussian blur’를 ... ...
-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카메라 뷰파인더를 통해 성도에 그려놓은 격자틀의 화각을 잡아 촬영 준비를 마친다.조리개는 2.0으로 최대한 개방하고 감도(ISO)는 1600 정도로 가장 민감하게 설정해야 어두운 천체가 많이 찍힌다. 노출 시간은 3분 정도가 적당하다. 그리고 성도에 그려 놓은 격자와 화각을 맞추는 데 주의하면서 2 ...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과학동아 l2008년 04호
- 편이 좋다.ISS가 하늘에 나타나기 전에 구도와 노출시간을 미리 정한다. 감도(ISO)는 400, 조리개(f)는 4, 화이트 밸런스(WB)는 태양광 모드로 설정한 뒤 약 30초 정도로 노출하면 ISS가 지나가며 길게 남긴 궤적을 사진에 담을 수 있다.우리나라 우주인이 타고 있는 ISS를 보며 손이라도 흔들어보면 어떨까. ... ...
- 호주의 사막 한가운데서 별빛으로 샤워하다과학동아 l2008년 03호
- 되지만 잘 활용하면 사진에 생동감을 불어넣어 준다.감도(ISO)는 800~1600 사이가 무난하다. 조리개는 어두운 별빛을 담아내야 하므로 최대한 개방한다. 자, 이제 준비 끝.구도를 정한 다음 15초에서 30초 사이로 노출 시간을 바꿔가며 사진을 찍어보자. 사진을 찍고 난 뒤 바로 확인하며 최적의 설정을 ... ...
- 별빛보호지구에 남은 시간의 기록과학동아 l2008년 02호
- 촬영이다. 조리개는 f/4 또는 f/5.6으로 설정한다. 광해가 심한 장소에서는 f/8 정도로 조리개를 조이면 사진이 뿌옇게 나오는 일을 막을 수 있지만, 사진에 찍히는 별의 수도 그만큼 줄어든다. 감도(ISO)는 200에서 400정도로 설정하면 무난하다.노출시간은 궤적을 길게 표현할 건지 아니면 짧게 할 ... ...
이전1234567 다음